꼬리에 꼬리를 무는 암살의 역사 건들건들 컬렉션
존 위딩턴 지음, 장기현 옮김 / 레드리버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암살의 역사

저 자: 존 위딩턴

출판사: 레드리버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 사건이 제 1차 세게대전의 도화선이 되었을까?

-본문 중-

 

역사는 다양한 시각으로 기록되어지고 이어져 왔다. 현재가 곧 미래에서 역사의 한 부분이 되니 현재의 선택이 앞으로의 상황을 결론 짓는 중요한 순간이 되기도 한다. 오늘 읽는 [암살의 역사]는 역사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국내 역사만 보더라도 정권을 잡기 위해 암살을 비롯한 살인에 관한 내용이 있다. 하물며, 아직 국가로 안정이 안되던 시대엔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을까?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암살을 정치와 함께 보여준 [암살의 역사]는 암살범에 대한 내용도 소개하고 때로는 역사의 추측으로 알려준 사례도 있었다. 마냥 흥미롭다고 할 수 없었고 다만, 정치와 전쟁과 같은 다수가 아닌 소수의 사람들로 인해 일어난 비극적 사건이라고 밖에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암살에 대한 또 다른 견해를 보여준 사람도 있었는 데 수많은 군사를 잃을 바에야 우두머리를 제거하면 더 이상의 피해도 없다는 것을 토대로 암살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암살은 전쟁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념의 다른 경우엔 더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저자는 로마를 시작으로 암살이 일어나는 사건을 나열하는 데 정복자와 탐험가가 지배 영역을 늘려가면서 정치적 살인도 더 넓게 퍼져 나갔다. 그리고 존 F.케네디 암살사건은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충격적인 장면으로 이 책에서도 역시 소개하고 있다. 어린 아들이 아버지의 관을 본다는 거 어떤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이를 보면 감정적으로 책을 보다보면 흐트러지는 데 저자는 암살에 관한 내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잠시 호흡을 가다듬고 읽어갔다.


그런데 암살의 역사를 보면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돌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암살은 어떻게 현재까지 일어나고 있는지...대랴적으로 그 원인을 가늠하면서도 인간이 가진 권력과 욕망이 새삼 더 무섭게 다가왔다. 하나의 암살 사건으로 인해 역사가 바뀌게 되니 문득 '만약'이라는 단어가 머릿속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가장 안타까운 건 종교적 신념으로 일어난 살인이다. 개인의 것이 아닌 다수의 신념으로 일어나는 사건은 현재도 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현재 일어나고 있는 전쟁에서도 역시 암살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암살범은 어떤 신념으로 살인을 시도하는 것일까? 혼자만의 계획은 아니었을 텐데 라는 강한 의문이 남겨지는데 이건 진실이 밝혀져도 과연 진실인가라는 의구심만 낳을 뿐이다. 그럼에도 암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건 혁명일 수도 있고, 피할 수 없는 역사의 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스치기도 했다. 여기서 저자는 누가 옳고 그르다 라는 것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일어난 사건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보니 생각의 몫은 독자의 것이다. TV 방송 중에 살해당한 한 일본인 정치를 보면 근대에 들어선 사건이니 정치가 더 무섭게 한편으로는 너무 가깝게 다가오고 있음을 느낀다.

 

 

책을 완독 후 잠깐 동안 멍한 상태로 앉아 있었다. 역사를 아는 것은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는 것 중 하나이지만 그 중에서 '암살의 역사'는 정치와 신념이 어떤 모습으로 변하는지 보여준 사례였기에 잠깐의 휴식이 나에게 필요한 도서였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