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속 전염병 - 왕실의 운명과 백성의 인생을 뒤흔든 치명적인 흔적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4월
평점 :
품절



도 서; 우리 역사 속 전염병

저 자: 신병주

출판사: 매일경제신문사

 

 

전쟁보다 더 무서웠던 것이 전염병.

-본문 중-

 

코로나 19로 인해 기존에 생각하고 있던 바이러스에 대해 생각이 판이하게 달라졌다. 바이러스는 인류가 생긴 이래 같이 살아왔다고 할 수 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이 되었는지 원인을 알 수 없는 존재도 있어 때론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어느 나라의 역사를 보더라도 역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또 다시 삶을 시작했다. 스페인 독감에서 페스트 등 역사에 기록된 전염병들은 여전히 사람들에게 공포심을 자극하는 데 과거 바이러스에 종식선언을 했지만 그건 어리석은 생각이었다. 전염병을 일으키는 존재는 어쩔 수 없이 인간사에 존재 할 수밖에 없구나 라는 생각은 이제는 의식해야만 할 거 같다.

 

 

그리고 오늘 역사 속에서 발생했던 전염병에 관한 책을 읽었다. 병의 증상은 잘 모르면서도 어릴 적 마마와 홍역이 두려움의 대상이라는 광고를 본 기억이 떠오른다. 어려서 무엇인지도 모르고 무섭다 라는 막연한 생각을 했었는데 무엇인지 알게 되면서 백신이 없었으니 무서움을 넘어 공포의 대상이었을 테다. 그러나, 그런 상황에서도 역사는 어떻게서든 이겨 내기 위해 방법을 찾았다. <조선왕족실록>2천여 건이 넘는 전염병의 흔적이 기록이 되어있다. <영조실록>에서는 '죽은 자는 방법을 다하여 거두어 묻어주고 산 사람은 특별히 구원하여 살려내라'고 할 정도로 산 자와 죽은 자의 구휼 정책을 강구할 정도였다.

 



인간의 힘으로 될 수 없는 건 굿을 시도 했지만 여기에 직접 의료기관을 만들면서 왕을 시작으로 백성까지 모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각각 기관을 만들었다. 왕실 의료기관인 내의원, 관리들의 진료를 받은 전의감, 그리고 백성들을 치료해주는 헤민서가 존재했다. 그리고 전염병 치료를 전담했던 곳이 있는 데 바로 동활인서와 서활인서로 두 활인서를 전염병이 유행 할 때 격리시설로 활용한 곳이었다. 허준을 비롯한 의녀 장금이의 활약도 소개하는 데 때론 병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원이나 의녀 역시 처벌을 받기도 했고, 반대로 차도가 있으면 포상을 주었다. 이어, 근대식 병원이 제중원이 설립이 되고 서양 의술을 배우려는 학생들이 있었지만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국립병원으로 진료 활동을 하던 제중원은 역사에 묻히게 되었다. 즉, 국립의료기관으로서의 제중원이 폐지가 되었다는 사실이다.만약, 제중원이 사라지지 않고 유지가 되었다면 어땠을까? 라는 아쉬운 생각을 해 본다.

 

 

또한, 의료하면 대부분 남성을 떠오른다. 물론, 의녀 대장금도 존재하지만 이 두 사람 못지않게 활약 한 사람들도 있다. 나라에서도 여성 환자를 봐야하는 부분이 있으니 의녀를 뽑기도 했으며 꾸준히 공부를 가르치고 시험을 통해 낙제가 되면 혜민국의 '다모'로 좌천 되기도 했다. 여기에, 60세가 넘어서까지 왕실의 의녀로 있던 송월이라는 인물도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 데 이들은 시험을 통해 의녀라는(통합해서) 호칭을 받기도 했지만 사대부가의 여인들 역시 민간요법으로 사람을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가장 무서웠던 천연두에 대한 지식 없던 시기다. 우리 나라엔 옛적에 천연두가 없었다고 하는데 어느 순간 나타났으니 그 병의 증세가 기이하니 두렵고 막막했을까? 전염병은 어느 시기든 휩쓸지 않았던 적이 없다. 정약용 마저도 전염병를 연구했고 그 뒤를 이어 지석영이 근대식 방법으로 퇴치하기 위해 배웠으니 말이다.

 

지석영은 의학뿐만 아니라 한글의 보급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05년 알기 쉬운 한글을 쓸 것을 주장했고, 그는 주시경과 더불어 한글의 가로쓰기를 주장한 선구자였다.

-본문 중-

 

청결하기만 해도 피해갈 수 있었던 콜레라는 1822년 서울을 중심으로 제주도까지 기승을 떨쳤고 그때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고 기록 되었다. 손씻기만 해도 걸리지 않았던 것을 그 존재(모든 전염병)에 대해 전혀 모르니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역사의 한 부분을 읽었다. 이를 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떤 경로를 통해 전파 되는 것을 확인하고 방안까지 내세운 것을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현대는 어떤 경로로 전파되는지 확인 방법이 빠르기에 그렇지만 여기까지 오는 동안 시행착오(역사에 기록된 부분들)는 있었지만 말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한국 역사 에서도 전염병을 두고 어떻게서든 이겨내려는 흔적을 봤다. 인간의 힘으로 죽어가는 생명을 살릴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았던 사람들. 때론, 신분과 무관하게 의료를 펼친 이들이 있어 의학이 발전할 토대가 되었음을 다시 한번 생각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