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이야기 쓰는 법 - 이야기에 강력한 긴장감을 불어넣는 스토리 창작법
조단 E. 로젠펠드 지음, 정미화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이야기 쓰는 법

저 자: 조단 로젠펠드

출판사: 아날로그

독자가 계속 이야기를 읽게 만드는 요소는 두 인물이 맺어지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아쉬움, 갈망, 희망 등이다.

-본문 중-

 

소설을 읽다보면 어느 것은 밋밋하거나 때론 극적이다, 긴장감이 든다라는 느낌을 종종 받는다. 이는 드라마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인공은 아니지만 주인공의 처한 환경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 되는지를 간접적으로 알게 되니 극도로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데 이런 요소가 없다면 책을 읽는데 지루함이 느껴지는 걸 알 수 있다. 특히, 장르소설을 접하면서 '긴장감'의 필요성을 더 절실히 알게 되었는데 주인공의 입장에 빠지면서 불안한 환경에서 어떻게 이겨낼지 또는 다음 장면이 너무 궁금해 책장을 빨리 넘기고 싶은 충동을 누구나 겪어 봤을 것이다.

 

오늘 만난 도서는 바로 이런 점을 더 세세하게 배울 수 있는 책으로 앞으로 작가가(모든 것을 포함) 된다면 꼭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정보다. 책은 총 4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음 내 생각에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무방할거 같다. 첫번째인 위험 요소를 시작으로 어느 소설이든 주인공에게 닥칠 앞으로의 상황은 결코 편안해서는 안되는데 이는 책을 읽는 독자에겐 앞으로 주인공 헤처나갈 그럴 위기가 없다면 소설은 금새 지루해지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보니 왜 사람들은 평온보다 고통에 더 끌리게 되는지 궁금해진다. 음 ..이는 심리적으로 더 깊이 들어가면 알 수 있겠지만 우선 여기까지만 적자.



주인공의 반응이나 감정 또는 적대자를 피하거나 무너뜨리거나 저지하려는 계획 혹은 두려움을 통해 적대자의 존재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본문 중-

 

긴장을 이끄는 위험 요소는 다양하다. 신체적, 정신적, 자연이 포함 되어 있는데 어느 게 더 낫다라고 정할 수 없지만 심리적 부분에서 더 난 긴장감을 느낀다. 저자는 각 소제목에 맞는 주제와 다양한 소설의 한 부분들을 예시로 보여주면서 설명하는데 만약 소개하는 책을 읽었다면 상황이 그랬구나 했을 텐데 이런 사전 설명을 읽고 요약된 부분을 읽으니 주인공의 상황과 심리가 더 섬세하게 다가왔다. 특히, 폭력적 상황에서 가해자가 느끼는 감정은 전혀 죄스럽지 않는 것으로 나오니 독자로선 더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더 나아가 이런 위험 요소엔 적대적 관계를 가진 인물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이야기가 쉽게 풀리지 않고 인물과 이야기의 변화를 이끌어 내니 '적대자'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적대자로 인해 갈등 요소가 한층 더 올라가고 불안감을 심어주니 더 소설 속으로 빨려들어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인물 외에 사람들은 주위 환경에 독자는 불안과 공포를 느끼기에 저자는 배경에 대해 모호하게 표현하지 말것을 말하는데 그렇다고 상세하게 하라는 말이 아니다. 그저, 독자가 눈으로 경험할 수 있게 효과적이고 구체적이라는데...이 문장을 읽다보니 종종 소설을 읽다보니 영화의 한 장면처럼 머릿속에서 떠오르게 하는 장면이 있었는데 바로 이 점을 독자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이 뿐만 아니라 상황을 표현하는 '동사' 역시 활용을 하라고 권한다. 문장은 단어들의 조합으로 된 것으로 같은 의미를 전달하더라도 어떤 단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독자가 느끼는 강도가 다르다. 정말 하나의 단어까지 신경을 써야하다니....[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이야기 쓰는 법]을 읽다보니 정말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작가의 노력이 엄청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했다. 글이란 누구에게,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는지를 목표로 삼고 써야 하는데 이를 알면서도 결코 표현이 쉽지 않다는 것을 ... 알게 된다. 이 점을 생각하면 대문호라고 칭하는 저자들은 어떻게 글을 썼을지.....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글쓰기를 어떻게 진행을 해야하는지 고민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