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심장 스토리콜렉터 100
크리스 카터 지음, 서효령 옮김 / 북로드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악의 심장

저 자: 크리스 카터

출판사: 북로드

 

어떤 어려움이 닥쳐오든,그는 준비된 사람이었다. 진갈색 눈빛도 무언가 달라져 있었다. 아주 차가워 보였고감정이 차단되어 텅 비어 있었다. 루시엔의 눈에서는 결코 보지 못했던, 사이코패스의 공허한 눈빛이었다.

-악의 심장 중-

 

북로드 에서 새로 출간되는 '로버트 헌터'시리즈 그 첫 번째 도서를 만났다. 압도적인 표지와 <양들의 침묵>를 넘는 스릴러라는 묘사에 궁금증 보다 먼저 두려움이 엄습했다. 또한, 사이코패스를 넘어 소시오패스에 대한 내용으로 이 부분에서는 저자의 경력이 한 층 더 빛을 발한 책이다. 장르소설을 읽기 전 항상 작가의 이력을 보는 게 습관인데 그건 일반 소설과 달리 추리는 저자의 경력에서 묻어나는 게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 만나 [악의 심장]은 심리학과 범죄행동학을 공부 후 실제 형사심리팀에 근무하면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어느 작은 마을에서 일어난 충돌사고로 인해 여성의 두 얼굴이 담은 상자를 발견하게 되고 용의자로 한 남자가 지목이 되는데 그가 갇힌 곳은 FBI아카데미 지하실로 침실이나 모든 게 불편한데 정확한 시간에 같은 행동을 반복할 뿐이다. 침묵을 유지하던 그가 나흘째 되던 날 던진 한마디 '로버트 헌트'라는 이름이다. 한편, 로버트는 LA 경찰로 막 수사를 마치고 휴가를 떠나기 직전에 상사로부터 급하게 호출을 받았는데 이 '호출'이 그의 인생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순간이 될 줄 예상치 못했다.

 

 

로버트 헌터 그는 누구인가? FBI에선 그가 쓴 <범죄행위에 관한 고급 심리 연구>박사 논문으로 그를 FBI에선 채용하려고 했지만 거절한 남자다. 타고난 천재..그는 남들보다 뛰어난 두뇌를 가졌기에 어린 나이에 벌써 대학에 들어갔으며 고작 23살에 논문을 쓸 정도로 뛰어난 프로파일러임을 FBI 센터장인 에이드리언은 인정했다. 몇 번이나 채용을 하려고 했지만 결국 경찰로 남은 로버트 헌터는 현재 FBI 요청으로 자신의 이름을 뱉은 남자가 누구인지 모른채 그 남자와 대면하게 되었다. 그리고 의문의 남자와 대면한 순간 로버트는 반가움과 놀람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왜냐? 맞은편 남자는 25년 전 같은 대학을 다닌 친구였으며 룸메이트인 루시엔 폴터였기 때문이다.



심리학과 범죄 행동에 관한 그 모든 지식이 있음에도 정작 너는 너 자신의 정신병은 보지 못했어. 너는 연구원이 아니야, 루시엔. 하물며 과학자는 더더욱 아니지. 그저 지국히 평범한 살인범 중 하나일 뿐이야.

-악의 심장 중-

 

25년 동안 연락이 없던 그가 한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이 되어 눈 앞에 나타났다. 그리고 그 친구는 이 사건에 자신은 그저 심부름꾼이라며 자신을 믿어 달라고 하고 자신이 그동안 일을 해왔던 일지가 어느 집에 있으니 그것을 찾을 것을 권한다. 그렇게 해서 로버트와 FBI요원 테일러는 한 집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찾은 건 루시엔의 무죄를 증명하는 게 아닌 친구의 또 다른 모습을 알게 되었다. 이제 루시엔은 연약한 모습이 아닌 차갑고 냉혈한 같은 이미지로 변해버렸다. 아니, 원래부터 이런 모습이었다는 점. 친구의 무죄를 증명하는 게 아닌 이제는 살인자로서 대면하게 되었다.

 

 

소설은 사건을 수사하는 게 아닌 두 천재의 두뇌 싸움을 보여준다.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해 왜 일어났는지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특히, 루시엔은 자신이 언제부터 살인 충동을 느꼈는지 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은 섬뜩하다. 또한, 왜 살인의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살인자들을 이해하기 위함이라는 이유가 놀라게 했으며, 25년 동안 살인을 저지른 루시엔 폴터 그리고 이젠 그 피해자들의 유해를 찾기 위해 살인자가 요구하는 것에 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단지 피해자 유해를 찾기 위한 과정만 보여주지 않고, 두 천재를 통해 한 명은 경찰로 다른 한명은 살인자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각기 자신들이 선택한 것에 그 이유를 타당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런데, 살인에 대해 타당한 설명이 되는가? 루시엔의 살인 행각은 어떻게 왜 인간이 살인자로 변하는지 그 과정을 프로파일러를 통해 보여주는데 독자로서 이런 부분은 호기심을 충족시키기도 하면서 한편으로 기함할 수밖에 없었다.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게 아니라 스스로 가해자가 되는 것...또한, 로버트가 오랫동안 간직해 온 고통스러운 일에 대한 진실이 드러나면서 그동안 평정을 유지하던 그가 흔들리는 모습을 목격하기도 한다.

 

 

책은 책장을 넘길 때마다 긴장감과 두려움을 느끼게 충분했으며 여기에, 소시오패스가 무엇이고 어떤 모습인지 세세하게 보여주면서 살인자는 타고난 것인지 ? 아님 만들어지는 것인지? ..라는 생각을 갖게 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