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나다 - 명화에 숨겨진 철학자의 시선들
이호건 지음 / 미디어샘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도서관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나다

저 자: 이건호

출판사: 미디어샘

왜 철학을 공부하는가?

그 이유는 우리가 알고 있든 모르고 있든 항상 짊어지고 다니는 지성적인 짐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본문 중-

 

미술과 철학의 만남. 참 오묘한 인연으로 그 자체만으로 끌리는 도서다. 생각 해보면 미술 작품을 보면 그 예술가의 삶과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는지 곰곰히 생각을 하게 됨으로써 더 깊은 사색을 하게 된다. 그동안 미술 작품을 보면 작품에 대한 설명만 읽었는데 여기에 철학을 접목시키니 더 넓은 시야로 그림을 보게 되었다. 오늘 만난 [미술관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나다]는 바로 이런 장점을 지닌 도서다. 저자는 철학을 작품과 함께 전달하면 여기에 철학자들과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 놓았다. 한 가지 주제가 아닌 '삶'이라는 큰 주제에서 다시 쪼개지면서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모든(희노애락을 포함한) 요소를 나열했다.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저자는 작가이자 평론가인 수잔 손택의 말을 인용하면서 예술 작품을 무조건 해석하는 행위는 잔인한 것이라 말한다. 순간, 이게 무슨 말이지? 했는데 수잔 손택이 하고 싶은 말은 비판을 위한 비평이 아닌 발전을 위한 비평 즉, 평가하고 재단하는 것을 넘어 대중이 더 잘 음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는 말이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전혀 생각지 못했는 데 그저 예술 작품만 보고 감탄만 할 게 아니라 더 나아가 철학적 관점의 사유를 가져야 겠다는 다짐이 들었다.

 

그렇다면 책은 어떻게 소개하고 있을까? 목록은 17가지로 인생을 시작으로 사랑, 아름다움, 노동, 희망, 죽음, 절망 등 인간사에 등장하는 모든 것을 나열하고 그 안에서 미술 작품과 철학자를 소개하고 있다. 첫 번째인 삶에서는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와 클림트의 <여인의 세 단계>'를 작품을 소개하면서 시작한다. 두 작품은 인생의 흐름을 보여주고 여기에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의 격언이 등장하는데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를 적어 놓았다. 이 말은 주위에서 종종 듣던 말인데 히포크라테스의 논문 격언에 기록된 것이며 전체문장은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며, 기회는 순식간에 지나가고, 경험을 유동적이며, 판단은 어렵다.'이다.

 

이 한 문장이 두 작품의 설명에 딱 맞는 표현이었으며, 철학에 문외한 이어도 이렇게 설명과 철학자의 말을 같이 보면 그림을 보면서 넓은 사유를 가질 수가 있다. 추가적인 설명이 없다면 난 클림트의 작품을 있는 그대로 인식을 했을 텐데 이런 설명으로 작품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꿈을 이루지 못한 이유는 바로 '기적을 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본문 중-

 

통령 오바마 , 흑인 인권을 부른 마틴 루터 킹 목사 이 세 사람의 공통점은 조지 프레드릭 왓츠의 <희망>이라는 작품이다. 붕대를 감고 남루한 옷을 입은 소녀가 하프 연주를 겨우 하는 모습은 오히려 절망처럼 보여진다. 누군가는 절망을 다른 이는 희망이 메세지로 보게 된 왓츠의 희망. 사람이 살아가는 건 꿈과 희망이 있기 때문인데 이게 참 이루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저자는 말한다. 꿈은 가지고 있지만 기적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라고...물론, 노력을 하더라도 안되기도 하지만 우선 저자는 단편<기적을 행하는 자>를 소개하면서 '꿈'에 대한 부가적 설명도 해 놓았다.

 

꿈이란 현실을 살아가는 원동력과 고통의 치유가 되기도 하지만 후자에 머무르게 된다면 더 이상 앞으로 나가지 않으니 조심하라고 경고한다. 어쩌다 놀이가 노동으로 되었을까? <농부의 결혼식><무동>작품으로 인간은 원래 노동보다는 놀이를 좋아하던 종족이라 말하면 관련 작품은 두가지를 저자는 소개했다. 현대인들이 노동에서 벗어나면 행복할까? 이 또한 미묘한 의문점을 남긴다. 더 나아가 자유를 준다면 이 또한 실컷 느끼는 이들도 많지도 않다. 그건 아마 놀이에 익숙하지 않아서다. 하지만, 어떻게 노동을 놀이로 전환시킬 수 있을까? 저자 역시 이 점에 대해 쉽지 않다고 말을 했지만 소수의 누군가는 이런 삶을 살고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외에도 시간, 고독, 복장까지 여러 작품을 통해 철학을 설명하는 데 책을 읽고 있으니 철학이 일상 생활에 아주 친숙하게 있었는 데 몰랐다는 걸 느낀다. 산책이나 여행이 필요한 것은 하이데거가 말한 '인간이 홀로 떨어져 고독을 느낄 대 진정한 자기 자신을 찾을 수 있다'의 근본적인 이유 때문이며 고독이 인간의 본래적 세계라고 말할 정도니 사유하고 실천하는 건 지금의 모습보다 더 나은 모습으로 나아가는 것이며, 때로는 어떤 삶이 참된 것인지 찾아가는 것 또한 철학을 통해 해답의 길로 가는 것이라 하니 철학이 왜 중요한지를 다시금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