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일 죽은 자의 이름을 묻는다 - 세계적인 법의인류학자가 들려주는 뼈에 새겨진 이야기
수 블랙 지음, 조진경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도 서: 나는 매일 죽은 자의 이름을 묻는다

저 자: 수 블랙

출판사: 세종

우리는 세운 가설을 세계에 알리는 것은 아주 솔깃한 일이지만, 한정된 관찰 내용을 근거로 지나치게 추론하지 않도록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우리는 자기가 푹 빠진 공상적인 이야기에 의거하여 입증되지 않은 정보로 수사 또는 법정을 오도해서는 안 된다.

-본문 중-

책 표지에 써진 '법의인류학자가 들려주는 뼈에 새겨진 이야기' 이 문장 자체만으로 끌리 수밖에 없는 책이었다. 추리소설을 좋아하고 관련 TV를 보면서 사체들을 두고 죽은 원인과 시간을 추정하는 과정은 과학이 발전하지 않고서는 절대 알 수 없는 것들이다. 어쩌면 이런 생각들로 책을 펼치게 되었다. 하지만, 책은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주고 죽음과 삶이 어떤 의미인지..살아가는 것이 어떤 것인지 라는 감정을 일깨워졌다. 결론은 흥미만으로 읽을 수 있는 도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먼저 책은 크게 머리와 몸통 그리고 사지로 나뉘고 그 안에서 더 세세하게 분류해 설명을 하고 있다. 첫 장인 머리에서는 먼저 인간의 가장 중요한 부위인 '뇌 상자'와 '얼굴'을 소개한다. 또한, 저자는 단순히 자신이 관여했던 어느 사건의 내용만 말하는 게 아니라 인간의 뼈가 어떻게 이뤄지고 어떤 기능이 있는지, 심지어 유아와 신생아 등 뼈의 성장시기도 같이 알려준다. 여기에 전문 용어가 등장해서 살짝 당황하긴 했지만 배워간다는 생각으로 책을 읽었다. 저자에게 주어진 임무는 거의 뼈를 발견하게 되면 그 현장으로 가서 어느 부분인지 그리고 넓게는 성별을 구분를 해야하는 임무다.

하지만, 사건에도 어쩔 수 없이 관여를 하기도 하는데 한 노인의 머리가 창고에서 발견한 사건은 가해자가 자백을 했기에 굳이 갈 필요는 없을 수도 있지만 먼저 어떻게 살해가 되었는지를 판독하는 게 첫번째 임무다. 또한, 발견된 뼈들이 인간의 것인지 판단하는 게 가장 중요한 작업으로 때론 이를 구분못하고 섞어진 경우도 있었다. 유골이 아닌 사체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엔 전혀 다른 상황인데 한 커플이 발견한 한국인 여성의 시체는 신원을 확인 할 수 있는 게 전혀 없었다. 여기서 저자는 학생들에게 사람이 살아 있을 때와 사후 얼굴을 다르기 때문에 절대 섣부른 판단을 하지 말라고 경고도 잊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진짜 완전 범죄란 처음부터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아무도 알지 못하는 범죄라고 생각한다.

-본문 중-

머리 다음으로 몸통으로 계속해서 설명이 이어진다. 몸통은 머리 보다 더 많은 뼈들이 지탱하고 있는 데, 태아 때 C형의 척주가 점점 S형으로 되고 노년이 되면 C형이 되는 중력 설명을 들으니 왠지 인생의 시작과 끝이 무엇이든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여튼, 몸체 부분에서는 아동폭력을 비롯한 여러 이야기를 설명한다. 또한, 교수형에 받은 사형수들의(밧줄로) 죽음 과정을 보니 인간의 뼈가 생각만큼 쉽게 죽음에 이르지 않았다. 그러니, 오죽하면 '친절한' 교수형에 자부심을 느꼈을까...

몸체 중 각각의 척추뼈는 사망자의 대부분을 알려주는 중요한 곳으로 특히, 사망 후 피해자의 외상과 손상에 대해 많은 정보를 알려준다. 가슴을 둘러 싸고 있는 뼈중 복장뼈자루는 청년의 연령을 확인 할 수 있는 부위로 인류학자들은 유골을 확신 시 성별을 가장 먼저 구별하는 데 그때 갈비뼈로 결정을 하고, 아동 학대 의심시 수사관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기도 하다. 아동학대로 죽은 5살 소년의 내용은 아들을 아버지가 담뱃불과 폭력으로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출동한 경찰에 의해 서서히 아들이 어떻게 죽었는지를 뼈의 골절을 통해 진실이 드러나는데 끔찍함을 넘어 어떤 말도 할 수가 없었다.

때로는 사건 외에 역사적 한 인물의 유골을 확인해달라는 요청도 있었는데 법의인류학자로 여러 방면에서 일을 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사건과 관련된 내용이었다는 점으로 저자는 어떤 심정으로 임무를 했을까? 빗장뼈를 통해 죽은 여인의 신원을 확인한 [19세 성노동자 마르셀라의 죽음]은 성매매 여성이기에 경찰에 선뜻 신고를 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뒤늦게 신고함으로 범인을 잡았지만 이미 죽어버린 여성은 누가 기억 해 주는 것일까?

또, 읽던 중 저자는 어릴 적 자신이 강간당했던 일을 소개했는데 그 때 나이가 겨우 9살 이었다. 당시, 남자는 협박을 하고 부모에게 말해도 의미없을 거라는 말을 했고 소녀는 홀로 가서 몸을 씻어야만 했다.

이 일은 어릴 적 겪은 스트레스와 충격으로 성장해야 하는 뼈가 잠깐동안 성장을 멈추게 한다는 '멈칫 현상'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적었다. 이를 읽으니 뼈란 인간인가 아닌가 어느 부위인가를 넘어 나이와 성별 그리고 살아가는 어떤 상황을 기록한다는 걸 알았다. 심지어 고문으로 인한 부분까지 찾아내는 법의인류학자들. 도서 뒷 표지에 써진 '우리가 그들의 이름을 붙이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 고요히 잠든다' 라는 문장은 죽은 이들에게 할 수 있는 최선의 의무임을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