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시민 불복종 (합본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이종인 옮김, 허버트 웬델 글리슨 사진 / 현대지성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월든


저 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출판사: 현대지성


"신사의 다리에 문제라도 생기면 다리는 치료하겠지만, 바지 다리가 찢어지기라도 하면 어쩔 줄 몰라 한다. 

진정으로 존경할 만한 것이 아니라, 남의 존경을 받는 것만 중시하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가 먼저 사람이 되어야지, 먼저 국민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본문 중-


월든 도서를 만난지 1년이 되었다. 책을 읽기도 전에 너무 익히 들었던 제목이었고 숲 속에서 생활하는 내용으로 생각을 했었다. 도시를 떠나 생활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어 이런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아니었다. 책 소개 부분에서 부제목인 '숲속 생활'을 제외했다는 데 이건 소로가 적은 내용과 거리가 멀기 때문이었다. 1인칭으로 시작하는 <월든>은 콩코그에서 오두막을 짓고 살아가면서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 더 나아가 경제와 정치 부분까지도 말하고 있다. 소로가 숲 속에서 산 기간은 2년 하고 몇 개월이 전부인데 하루하루를 기록한 이 책은 훗날 많은 이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특히, 이번 책에서 부록된 <시민 불복종>은 소로가 어떤 인물인지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번 책은 그동안 보지 못했던 콩코드의 풍경을 볼 수 있다. 텍스트로 보는 게 아니라 사진을 보니 소로가 어떻게 생활을 했는지 더 실감나게 볼 수 있었다. 자연 풍경은 평온하고 때로는 혹독하게 보였는데 2년 이라는 시간 소로가 겪은 것은 상상하니 무엇이 그토록 소로를 머무르게 했는지 느끼게 되었다. 소로는 원주민의 바구니 사건으로(?) 그들이 무엇을 잘못(?) 생각하고 있는지 지적하는데 이 부분에서 나름 혼자 경제를 생각하는.. 다른 시각으로 봐야 하는 것을 알았다. 음, 책 대부분은 이런 흐름으로 흘러가는데 사실 책 표지를 보고 당연히 자연인(?)으로 생각하겠지만 아니라는 점 오히려 철학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이어 수록된 <시민 불복종>은 정부가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국민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말한다. 이건 전적으로 소로의 의견으로 당시 소로는 노예제도 폐지를 옹호했으며 심지어 이들의 탈출을 도와주기도 했었다. 하버드를 졸업했음에도 숲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했던 모습은 누구에게라도 한심하게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소로만의 인생 철학이 있었음을 <월든>을 통해 알았으며, <시민 불복종>은 톨스토이, 간디, 마틴 루턴 등 비폭력 운동 지지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던 점을 보게 되었다. 책을 읽다보면 소로는 다른 삶을 선택했다면 풍족하게 살지 않았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했었는데, 만약 그랬다면 소로는 45세 나이에 세상을 떠나는 일이 없었을 텐데 라는 안타까움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그가 남긴 <월든>에서 소로의 철학과 인생을 읽게 되면서 우리의 인생을 어떻게 이끌어 가야 하는지를 깨닫게 해줬다. 때론 타인의 삶을 보면서 인생 목표를 만드는데 소로의 책은 좀 더 깊게 '삶'을 알아 가도록 해 준거 같다. 그래서!! 매해 이 책을 읽기로 다짐했는데 읽을 때마다 새로운 것을 알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