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 : 재앙의 정치학 - 전 지구적 재앙은 인류에게 무엇을 남기는가 Philos 시리즈 8
니얼 퍼거슨 지음, 홍기빈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재앙의 정치학


저 자: 니얼 퍼거슨


출판사:21세기북스


"대홍수, 전염병,흉작이(...)인류의 다수를 파멸시키는 결과를 낳을 때가 있고(..)

이때 모든 전통과 예술과 기술은 그와 함께 사라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재난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다시 아이를 낳아 인구는 또 늘어나고, 땅에 떨어진 씨앗에서 다시 곡식이

자라나듯 이를 통해 사회의 삶의 쇄신이 시작된다."


-본문 중-


인류는 발전을 하면서 과학이 발전하고 생명 역시 과거에 비해 수명이 길어졌다. 인간이 자연을 정복(?)할 거 같은 시기에 사람들은 힘없이 그 앞에 무너졌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이전에도 바이러스를 있고 존재 했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런데 인류는 인간이 이길 수 있을 거라 생각을 했었지만 아니었다. 위험한 순간들이 한 시대에 머무르면서 허무하게 무너지는 것을 보았고 2년 전 발생한 사태 역시 이렇게 오랫동안 이어질 거라 그 누구도 예상치 못했다. 그리고 이번 일로 인해 바이러스는 사라지지 않으며 인간과 함께 공존할 수밖에 없음을 알았다. 


저자는 인간으로 발생한 모든 질병과 사건을 이 책에 담았다. 단순히 재난만을 설명하는 게 아니라 정치 즉, 미국이 중국을 향한 정치적 압박을 볼 수 있다. 어느 책이든 시기를 잘 만나야 하는데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의 출간이 이르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았다는데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어떤 해답이 있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해답 대신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야하는지 행로를 가르쳐 주는 게 이 책에 담겨져 있다. 코로나19 역시 완전한 백신이 현재까지 나오지 못하듯이 재난과 질병은 앞으로 인간과 같이 가야 하는 운명이라 말한다.  



600페이지가 넘는 책인 [재앙의 정치학]은 그저 소개만 하지 않는다. 실수와 오류를 통해 앞으로 인간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지 이를 알려주고 있다. 체르노빌, 일본 원전 사태 등 자연 재난이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재난은 막을 수 있던 것이기에 이런 일들은 생각 만으로 안타깝고, 한편으론 이보다 더 무서운(?) 것을 인간이 만들어 낸다는 게 무섭기도 했다. 단지, 피해만이 일어난 게 아니라 이로 인한 정치와 경제 등 인류사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역시 현재 정치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미국을 보면 느낄 수가 있다. 더불어, 재난은 시대가 변해도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 단지 형태가 다를 뿐 뫼비우스 띠 처럼 돌고 돌 뿐이다. 그리고 여기서 인간은 대처하는 법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재난이 인간사에 악영향만 주었다고 할 수도 없다. 전염병으로 뜻하지 않게 전쟁이 종결되기도 했고 더 강력하게 회복하는 힘을 자극하기도 했다. 문득, 이 책을 읽고 있으니 앞으로 인류는 어떻게 변하게 될지 앞서 적었듯이 '공존'이라는 단어가 먼저 떠오른다. 각 시대별로 일어난 재난은 실연 이었지만 인간은 무너지지 않고 다시 한번 일어서는 기회로 잡았듯이 이번 사태 역시 극복함으로써 지금보다 나은 상황이 되기를 바랄 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