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 길가메시 서사시


저 자: 작자 미상


출판사: 현대지성


인류 최초의 신화라는 책을 드디어 만났다. 신화하면 그리스가 먼저 떠오른데 길가메시는 늘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만나게 되었다. 이번 책은 기존에 발견되었던 것에 더해 새롭게 다른 점토판이 등장하면서 추가 되었다. 총 4부로 나뉘어 있는데 이야기는 서로 연관이 있지만 이어진 것은 아니다. 또한, 소설같은 문장이 아니라서 끊어 읽는 듯해서 읽는 속도는 살짝 더디기도 했다. 길가메시와 엔키두는 동료이고 형제였다. 신화는 압제가 심한 길가메시로 인해 신들이 엔키두를 그에게 보냄으로써 그와 같이 전쟁을 하고 사냥을 하러 가는 이야기로 흘러간다. 1부에서 훔바바인 삼나무의 수호자를 잡으러 떠나는 여정을 그리고 엔키두가 죽음으로 끝이 났다. 2부에서는 과거 엔키두와 전쟁을 하면서 승리하고 불로장생을 얻으려던 길가메시의 헛된 꿈을 소개하고 있다. 


길가메시는 폭군이었으나 여정을 통해 변화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것을 한 인물을 통해 보여준 것이며 여기에 지혜와 성공 그리고 실패를 보여줌으로 인간의 삶이 어떠한지를 알려준다. 그런데 최초로 발견된 점토판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새로운 텍스트들이 발견이 되고 있어 계속해서 원고들이 새롭게 추가가 되고 있다. 일부 손상된 부분들 때문에 읽으면서 어색할 거라 생각을 했었는데 그냥 물 흐르듯 읽어가니 나름 내용은 끊기지 않았다. 아무래도 여기서 더 깊이 연구를 할 경우엔 달라지겠지만 말이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한가지 이야기로 된 것이 아니다. 각 지역에서 각색되어 제공이 되었다는데 다른 언어로 발견 된 길가메시는 어떤 경우는 판독이 어려운 경우가 있고 다른 경우는 보존 상태가 나빠 확인이 어렵고 말한다. 길가메시는 하나의 점토판으로 되어있는 줄 알았는데 이처럼 다르게 기록이 남겨졌다는 건 역시 영웅과 관련된 내용은 각 지역이 특색에 맞춰 만들어졌나 싶다. 현재까지 표준 판본은 바빌로니아 서사시로 총 73매로 정리된 상황이라고 전한다. 하지만, 빈 상태나 훼손된 부분이 있다고 하니 길가메시 서사시는 멈춘 것이 아닌 현재 진해형인 작품이다. 


[길가메시 서사시] 신화라는 점에서 때론 이해가 되고 안되는 부분도 있는데 소설처럼 문장이 많은 것이 아니기에 어색하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이렇게 평소 궁금하던 작품을 만나서 좋았고 시간차를 두고 다시 한번 읽어보고 지금은 어려운 부분을 그때에는 이해를 할 수 있겠지라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