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 - 그동안 몰랐던 서양미술사의 숨겨진 이야기 20가지
허나영 지음 / 타인의사유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 /허나영 / 타인의 사유] 



그림은 누구나 관심을 가지는 분야로 몇 년 전부터 수채화를 시작하면서 미술이 그저 보여지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그림을 통해 작가가 무엇을 전달하려는 것인지 알게 되었다. 즉, 시각적 요소만 있는 게 아니라 생각할 것을 던져주었다는 점이다. 오늘 만난 이 책은 그동안 주연의 그림으로 알려진 사람들이 있는 반면 그 외 사람들은 알려지지 않았다. 조연이 있기에 주연이 존재하는데 그동안 중요 미술만 봤었다는 것을 알았다(솔직히, 보려고 한 게 아니라 너무 유명해서 그렇다). 저자는 바로 이점 주연이 아닌 조연을 소개하는 도서로 [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를 출간하게 된 것이다. 난 이점에 끌렸다 그동안 너무 유명한 작품들만 소개하다보니 제대로 알지 못하더라도 감흥이 별로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책은 총 7챕터로 나뉘어지며 그 안에서 다시 한번 세세하게 나뉘어져 있다. 각각의 내용은 역사와 미술의 시작 그리고 변천사를 보여주는데 특히,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 흥미로웠다. 첫 장에서 먼저 헤게소 라는 여성을 소개하는데 당시 미술은 지금처럼 관람을 목적이 아니었다. 문맹률이 높았기 때문에 그림으로 전달하려는 게 가장 큰 목적이었으며 이를 비롯해 미술 역시 실용적인 면이 많았다. 그렇기에 장인들은 예술가라는 호칭을 받기도 했다. 그렇다면 헤게소는 무엇 때문에 소개 된 것일까? 그녀는 아테네 시민이었는데 당시 시민권은 남성이 유일했다. 노예와 여성은 열외가 되었는데 앞뒤가 맞지 않게 친모가 아테네 시민이어야 자녀가 시민권을 가질 수 있는 상태였다. 으흠, 그리고 헤게소는 가장 이상적인 여인으로 귀감이 될 만한 인물이었고 그렇기에 묘비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남성 누드에 대한 얘기도 등장하는데 이미 익히 들었던 부분으로 그리스와 로마시대엔 남성의 몸이 아름다움이었다. 그리스 신화 속에서도 여성만 아니라 남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도 했었다. 인간의 신체가 아름답고 할 수 있는 것...<원반 던지는 사람> 조각상은 근육과 비율이 완벽해 사진으로 봐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올림픽 제전 외에도 사제간의 에로스 역시 당시에는 허용이 되었다고 하니 이들이 만든 회화나 조각의 발전 당연할 수 밖에 없었나 싶다. 



마리 앙투아네트 하면 사치와 국력을 힘들게 한 인물로 기억하는데 이번 책에서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내성적인 루이16세와 달리 사교적이고 활발했던 여인이다. 시민들이 굶주림에 힘들 때 케익을 말한 게 아니라 감자로 음식을 대체하라고 권유까지 했었다고 하는데 이 사실은 최근에 와서야 밝혀졌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루이16세 부부는 사형에 처해야 했을까? 나라는 여러가지 힘든 시기를 겪고 있었고 무너져가는 그 순간에 희생양이 필요했고 국외에서 온 마리 앙투아네트가 단지 그 대상이 되었을 뿐이라고 한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초상화를 보고 있으면 사치스러움 보다는 멋스러움이 느껴지는데 인생이 한치 앞을 볼 수 없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이 외에도 네덜란드는 중산층을 위한 미술이 유행이 되었다. 서민들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당시 상황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데 그림을 통한 역사의 한 부분도 보여주지만 [탄자의 편력]이라는 8가지 그림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전달하는데 글을 몰라도 이렇게 그림으로 이야기를 흐름을 알아간다고 하니 미술이 그저 보는 것을 넘어 생각을 던져준다는 점을 다시 상기 하게 되었다.  


책 속에 이야기는 참 많다. 이 한 권의 책을 읽으면서 그림의 원근법이라는 용어 대신 미술을 통해 역사와 시민들의 모습을 만나게 되었다. 그동안 유명 작품도 물론 아는 것도 좋지만 오늘 만난 [다시 쓰는 착한 미술사]처럼 작품 속에 있는 다른 이들을 보는 것 역시 나에겐 많은 공부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