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귀신이 와르릉와르릉 1 - 딱 하나만 들려주오 초승달문고 49
천효정 지음, 최미란 그림 / 문학동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귀신이와르릉와르릉
천효정 글
최미란 그림
문학동네
.
.
이야기주머니이야기라는 전래동화가 있다. 이야기를 좋아하는 아이가 이야기를 모아 쓰고 꽁꽁 가둬둔 채 어른이 되었다가 귀신이 된 이야기들이 음모를 세우지만 결국 어른이 된 아이가 이야기들을 풀어준다는 이야기다. 그럼 풀려난 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이 전래동화를 좋아하면서도 이제야 질문을 던진다. 이야기들은 어디로 어떻게 가고 애초에 어떤 이야기들이었을까. 일종의 메타픽션, 메타 전래동화인셈이다. 그런데 이 질문에 대한 가장 유쾌한 대답을 천효정 동화작가가 하는 듯하다. 이전의 삼백이 시리즈를 비롯해 천효정 작가의 입담은 믿음에 재미까지 더한다.
이야기 귀신들이 이야기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다시 쓰는 도입은 참신하다. 이야기는 저자의 것만이 아니라 독자의 개입으로 완성됨을 보여준다.
.
.
전래동화를 아이들이 좋아한다지만 어딘가 다 아는 이야기기에 지루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형적인 등장인물과 권선징악의 결론은 단조롭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천효정 작가가 재해석하고 다시 쓴 이야기들은 놀라울 정도로 유쾌하고 신명난다. 동시에 최미란 그림작가의 그림이 이어지며 깨알같은 재미를 선사한다.
.
.
세상에 이야기는 끝이 없고 이 이야기 또한 시리즈로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서 기대가 크다. 매킨타이어는 인긴이 이야기하는 동물이라고 말했다. 덧붙이자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 아닐까. 어린이들은 그 재미를 누구보다 잘 안다. 천효정작가가 그리는 전래동화의 세계가 이를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항과 창조의 브로맨스 에밀 졸라와 폴 세잔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항과창조의브로맨스
에밀졸라와폴세잔
박홍규
틈새의시간
.
.
에밀졸라의 책을 읽어보았고
세잔의 명화를 잘 알고 있더라도 두 사람사이의 우정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어떻게 이런 책을 쓸 수 있을까 혹은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렸을까 감탄을 했을 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예술가가 서로를 알아보고 서로의 예술의 위대함을 응원할 때 예측불가의 시너지가 그들의 작품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
.
이런 사실은 호기심으로 시작해 놀라움과 존경심을 이끌지만 결론적으로 그들의 우정에 대해 일화만을 알고 있을 뿐이다. 예술가나 명사들 사이의 우정이든 갈등이든 사랑이든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
.
문학의 거장인 에밀졸라와 후기인상파의 거장인 세잔 사이의 우정은 그들의 작품세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의 장점은 시대순에 따라 접근하여 청춘기, 예술가로 활동한 시기 등등 보여주고 주제에 따라 언급하여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자가 이글을 쓰는 이유에 대해 서두에서 밝히고 있어 그 방향을 알 수 있었다.
.
.
아마 이 책을 깊이있게 읽기 위해서는 에밀 졸라의 작품을 많이 읽어봤거나 세잔에 대한 배경지식이 풍부해야항 것이라고 나름의 진입장벽을 예상할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제시한 소제목 별로 이들의 일대기와 작품세계 등 풍부한 배경지식이 다뤄져 있어 좋았다.
.
.
아울러 이 책을 다 읽고 앞에있는 참고서적으로 돌아와 좀다 깊은 관심분야에 접근해보는 지적시도를 항 수 있었다는 점이 만족스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 봄
한연진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은봄
한연진
문학동네
문학동네그림책
뭉끄
문학동네그림책서포터즈
.
.
계절책 혹은 계절그림책들이 있다. 제목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들어가서 계절이 바뀌면 한번 읽어보게 된다. 숨은 봄은 봄에 대한 책이 아니라 봄을 기다리는 겨울을 그린 계절그림책이다. 차가운 겨울에 봄을 향한 마음이, 그리고 봄에 대한 추억이 담겨있음을 확인하게 하는 아름다운 그림책이다.
.
.
'나'는 봄을 찾가 긴 여행을 떠난다. 고양이의 인사
순록의 용기, 올빼미의 호의, 눈표범의 기다림에서 봄에 대한 여정이 이어진다. 물론 봄은 쉽게 오지 않는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봄을 기다리고 기대하는 마음이 있다. 그런 마음을 아름답게 시각화한 그림책이다.
.
.
그림책에 실린 글은 따스한 편지처럼 느껴진다. 소근소근 다정한 마음이 전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한 형태지만 하나하나 귀엽고 포근한 느낌이 가득한 그림은 보는 사람에게 미소를 이끌게 한다. 겨울에 봄을 기다리는 어린이들에게 그리고 어른들에게 꼭 선물하고 싶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의 속삭임 - 제24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보름달문고 93
하신하 지음, 안경미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의속삭임
#하신하 글
#안경미 그림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대상
.
.
우주의 속삭임,
우주는 가만히 귀기울여야
그 속삭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라는 존재를 믿고
그 신비에 경이로움을 느껴야
그리고 그 안에서 상상할 수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
.
매해 기대감을 주는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수상작이며 내가 좋아하는 그림작가 중 한분인 안경미작가님의 그림이표지라
가제본서평단을 신청했고
단편 중 하나인 #반짝이는별먼지 가 실려있다.
.
.
발길이 끊어진 낤은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하는 할머니와 나.
온 우주가 친구라는 말을 듣지만
허전하고 쓸쓸한 마음으로 손님을 기다린다.
우연히 제로라는 여행객이 오고
또 우주복권 당첨이라는 행운까지 만나게 된다. 낯설지만 전래동화가 가미되기도 하고
신비로운 설정들이 돋보였던 작품이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을 위한 정의 - 번영하는 동물의 삶을 위한 우리 공동의 책임
마사 C. 누스바움 지음, 이영래 옮김, 최재천 감수 / 알레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을위한정의
마사너스바움
알레북클럽
.
.
도덕적 고려 대상의 범위는 이성을 가진 인간에서 동물, 생명체, 대지까지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권리의 차원에서 이를 인식하고 인정해야 법적 정의를 통해 구체적 권한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역사가 자유와 평등을 위한 투쟁에서 진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신분, 인종, 성. 그 범위는 확대되어 갔고 이것이 보편 정의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왜 동물에는 해당되지 않는가. 동물권을 주장한 많은 철학자 중 공리주의자인 피터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을 근거로 동물을 도덕적 고려대상으로확장하여 동물권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마사너스바움의 <동물을 위한 권리>를 통해 싱어의 저서 "동물해방"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는 추천사를 보고 기대와 궁금증을 멈출 수 없었다. 이성이 아닌 쾌고를 근거로 하여 동물의 권리를 신장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쾌고라는 근거의 미약함과 권리를 부여해주는 시혜의 태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었다.
.
.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역량접근법에 있다. 마사너스바움이 싱어와 견해가 수렴하는 부분으로 쾌고감수와 살육의 부당성을 들고 있다. 그러나 동물은 쾌고만으로 사는 것은 아니다. 동물의 삶에도 존엄이 있고 사회적 역량과 호기심, 놀이, 계획, 자유로운 이동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가치와 활동에 큰 의미가 있다. 동물들은 나름의 번영을 시도할 자격이 있기 때문이라는 마사너스바움의 논리는 정당성을 넘어서 연대를 향한 진심을 느낄 수 있었다.
.
.
저자는 경이, 연민, 격분을 우리의 실천적 태도로 제시한다. 경이는 윤리적 관심을 이끌고 연민은 구 방향이다. 여기서 격분은 "이제 그만하자, 다르게 행동하자"는 미래지향적 전환을 이끈다. 또한 동물과 인간의 우정을 다루며 착취적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로잡기위한 시도임을 주장한다. 아울러 동물에게 원고적격과 인간에게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가 요구된다고 말한다.
.
.
이 책은 동물권에 대한 논의에서 역량접근법을 통해 새로운 지점을 제시한다. 동물과의 공존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저자가 자신의 이론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다른 학자들의 이론을 반박 혹은 수렴하는 과정이 있어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고전철학자 뿐 아니라 데카르트나 칸트와 같은 근대철학자, 공리주의자인 벤담과 밀 그리고 동물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실천적으로 제시한 피터싱어까지 등장한다. 한편으로는 저자의 고민도 느껴진다. 어디까지 허용하고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보이기도 하고 동물에게 호혜적 시민권을 부여하거나 법적 권리를 위한 인간 대리인은 독자로서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었다. (좀 무리수라는 생각이 드는데 내 식견의 문제겠지만...)
.
.
마지막으로 이 책은 동물인권에 헌신했으나 먼저 세상을 떠난 딸을 위한 진심의 애도이기도 하다. 상상할 수 없는 깊은 슬픔에서 딸을 향한 사랑과 애도를 완성하는 기념비적 연구를 해냈다는 것에 존경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