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 번의 힌트
하승민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6월
평점 :
서른번의힌트
하승민, 김희재, 강성봉, 김유원, 서수진, 박서련, 강화길, 한은형, 강태식, 장강명, 최진영, 주원규, 서진, 조영아, 조두진, 권리, 심윤경, 박정애, 한창훈, 김연 한겨레출판
.
.
나의 이십대에 사랑했던 소설은 단연 한겨레문학상 수상작들이었다. 한국 장편소설이 이렇게 재밌을 수 있다는 것에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매해 다른 신인작가의 출연을 반가워하며 기다렸다. 시작은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팬클럽과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었는데 이 책은 여러번 다시 읽고 주변에 선물하며 열심히 한겨레 문학상을 알려왔다. 그렇게 30년 동안 우리 문단에 새로운 기류를 만들어온 한겨레문학상 수상자들의기념 앤솔로지를 만나게 되었다.
.
.
장강명, 강화길, 한은형, 최진영 등의 작가를 알게된 것도 한겨레문학상을 통해서 였다. 그들은 신인이었지만 모두 매력과 개성 그리고 문제의식까지 명확한 작품들을 선보였고 이후에도 작가로서의 존재감을 확실히하고 있다.
마치 이들의 안부에 응답하듯이 이들의 단편을 한겨레문학상 앤솔로지를 통해서 만나게 되었다.
모든 작가의 작품이 담긴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많은 작가가 참여하여 굉장히 알찬 작품이 되었다. 이들의 단편을 하나씩 읽으며 데뷔작과의 결을 확인하기도 하고 또한 달라진 모습을 알아보며 흥미롭게 읽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데뷔작을 모티프로 한 외전들을 만날 수 있다고 하니 정말 독자들이 기다려온 멋진 기획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역시 순서대로 읽기보다는 내가 애정하는 작가의 단편은 반갑게 읽게 되었다.
.
.
심리적 긴장감으로 기억하는 김희재의《탱크》는 〈잠도 가는 길〉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전작에서와 달리 치유의 서사는 은은한 감동으로 남게되었다.
.
.
《체공녀 강주룡》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박서련의〈옥이〉의 옥이를 통해 강주룡을 다시 만날 수 있었다.
.
.
사실 한은형의 작품을 가장 먼저 읽었다. 한은형의〈빵과 우유〉는 여성 예술가로서 모성에 대한 의심과 혼란이 섬세하게 그려져있었다.
.
.
《싸이코가 뜬다》는 가장 강렬하게 기억되는 작품이다.
이번 작품인 <어나니>역시 유쾌함과 불편함사이에서 특별하게 남아있다.
.
.
《나의 아름다운 정원》은 한겨레문학상에서 만난 최고의 작품이다. 여전히 동구라는 이름에는 그리움이 묻어난다. 이번작품인〈너를 응원해〉는 똑똑한 아이를 기르는 가족 간의 문제가 그려져있는데 작가가 전하는 감동이 분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