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소설
송수경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예전 학창 시절부터 지금의 전공을 택하여 밥을 벌어먹고 사는 현재까지 항상 궁금한 것이 한 가지 있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이라는 <홍길동전>은 정말 허균이라는 사람이 지은 것일까? 허균에 대해서는 비운의 천재 시인 허난설헌의 동생이며, 광해군 때 역모로 죽음에 이르렀다는 지식 말고는 아는 바가 거의 없었지만, 유서 깊은 양반 가문의 아들인 그가 왜 이런 소설을 썼을까? 하는 의문이었다. 전하는 말로는 그에게 시를 가르친 이달은 서출이었고, 그와 가까이 지냈던 친구 중에는 서자들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허균은 자유분방한 사고와 파격적인 실천력을 가진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이 태생을 벗어나서 행동하기가 그리 간단한 일일까?

  이 소설 <위험한 소설>은 나의 이런 의문에 어떤 해답을 줄 수 있을까? 소설을 읽고 나서 허균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많은 궁금증이 생겼다. 소설에 단편적으로 드러나는 그의 인품이나 삶의 자세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인 인물이었던 것이다.

  허균에 대해서 잠깐 알아보던 중에 여러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장원 급제를 할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가진 학자였으며, 유학을 근본으로 하는 나라에서 벼슬을 살면서도 "불교에 대해서는 한때 출가하여 중이 되려는 생각도 있었으며 불교의 오묘한 진리를 접하지 않았더라면 한평생을 헛되이 보낼 뻔하였다는 술회를 하기도 하였다"(한국역대인물종합지원시스템)고 할 정도로 열린 사상을 가진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재가 뛰어나 많은 작품을 지은 허균은 그 행실에 있어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한다. 이 소설 <위험한 소설>에 나오는 천민 출신 시인 유희경과의 교류나 부안 기생 매창과의 관계 역시 당대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

예교(禮敎)에만 얽매어 있던 당시 선비사회에서 보면 이단시할 만큼 허균은 다각문화에 대한 이해를 가졌던 인물이며, 편협한 자기만의 시각에서 벗어나 핍박받는 하층민의 입장에서 정치관과 학문관을 피력해나간 시대의 선각자였다."(한국역대인물종합지원시스템) 

  그의 죽음에 관한 의문은 당시 사람들도 인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의문은 지금도 풀리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뛰어난 천재의 억울한 죽음인 것일까? '시대와의 불화'라는 말로 그의 죽음을 단정지을 수 있을까?

   소설은 그 구성이 입체적이다. 처음 시작은 이미 허균이 능지처참을 당한 이후이다. 멸문지화를 막기 위해서 숙부의 죽음 현장에서 숙부를 부정했던 조카 허보는 자신을 미행하던 한 여인에게서 의문의 글을 전해 받는다. 여인은 교산선생의 억울한 죽음을 이젠 알릴 때가 되었다고 말한다. 늘 마음에 짐을 지고 살던 허보는 조카인 필진과 함께 숙부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밝히고자 궁리를 한다. 숙부와 교류가 있었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풀리지 않는 의문을 갖게 된 허보는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을 유희경을 만나지만, 그 역시 알 듯 모를 듯한 말만을 남긴다. 소설의 시간은 교산 허균의 살아 생전의 사건과 허보의 시간이 이중적인 구조를 그리면서 진행된다. 시와 술을 즐기고 여인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웅숭깊은 사람인 교산은 그의 필생의 마음인 매창을 위하여 소설 <홍길동전>을 쓴다. 그 내용은 임금을 부정하고 이 조선 땅에 새 나라를 세우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구하고자 교산에게 글을 쓸 것을 부탁한 기생 매창은 그의 글을 밤새 읽고 눈물을 흘린다. 자신을 죽음으로 밀어넣을 것을 알면서도 매창의 부탁을 거절하지 않은 그의 마음을 본 것이다. 그녀는 죽음을 앞두고 목숨을 걸고 그 글을 고쳐서 칠서들에게 전달한다. 그녀는 죽기 전에 교산의 목숨을 구하기로 한 것이다.

  한 때는 서로를 위하여 목숨을 주어도 아깝지 않을 관계였으나,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모습은 슬프기 짝이 없었다. 그들이 사랑하고 의지하던 사람을 속이고 아프게 하고, 죽음의 구렁으로 몰아넣으면서 얻고자 하던 것은 모두가 평등한 그런 세상이었을까?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고 형을 형이라 부를 수 있는 길동이 꿈꾸던 그런 나라였을까?

  복잡한 구성이 소설의 앞 뒤를 조금 들썩이게 하고, 당대의 역사에 관한 뚜렷한 지식이 없어 약간 혼란스러웠다. 교산의 죽음은 겨우 소설 속에서 말하는 그런 이유였던 것일까? 그러나, 저 멀리 옛 사람들의 사랑과 교분을 마치 내 것처럼 느낄 수 있었고, 그들이 주고 받는 시의 아름다움은 조금의 혼란을 아무 것도 아닌 것으로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