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는 불행하다
카리 호타카이넨 지음, 김인순 옮김 / 책이좋은사람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마티는 창고에서 운반일을 하는 평범한 남자이다.

다른 사람과의 차이가 있다면 집에서 살림을 도맡아하며 딸 시니도 잘 돌본다는 것이다.

마티의 주특기는 국수그라탱이다. 마티는 자신을 가정전선의 참전 용사라고 생각한다.

그의 취미는 하기 경기 중계 보기.

열심히 응원하며 한편 토하면서 하키를 보던 그는 자신의 아내 헬레나가 딸 시니를 데리고 집을 나가는 것을 말릴 틈을 놓치고 만다.

헬레나가 집을 나간 이유는?

마티의 폭력 때문이다.

그럼 마티는 폭력적인 남자인가?

아니다. 마티는 그 때 단 한번 주먹을 날렸다.

헬레나가 참을 수 없을 만큼 자신을 비난했으므로...

졸지에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마티는 그녀의 사랑을 되찾기 위해서는 그녀가 원했던 단독 주택을 마련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리고 목표를 세운 만큼 너무나 적극적으로 그 일을 추진한다.

때로는 목적의 숭고함이 수단의 비열함을 합리화한다.

마티는 단지 집을 한 채 갖고 싶을 뿐이다.

햇살이 떨어지고 아이가 그네를 타고 자기가 잔디를 깎을 수 있는 집말이다.

자신의 상황으로는 단독주택지구의 작은 집을 바로 갖는게 어렵다고 생각한 마티는 다른 방법을 찾는다.

마티는 너무나 치밀하고 계획적으로 일을 진행한다.

아마 그는 연구를 하고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일에 재주가 있어 보였다.

 

누구나 한 평생 자기의 집을 갖고 싶다. 그리고 그것이 인생의 목표가 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공통된 모양이다.

집의 대출금을 다 갚을 때 쯤이면 아이가 마흔 살이 된다는 부분에선 공감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나 자신이 같은 처지라서 더욱 그렇다.

 

곳곳에 묻어나는 세태 비판과 촌철 살인의 유머는 이 책을 손에서 쉽게 내리지 못하게 한다.

시점의 다양한 이동은 등장인물의 내면 세계를 잘 드러내는 좋은 방법이다.

주인공은 마티이지만, 우리는 같은 사건이라도 누구의 눈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