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픽사 이야기 - 시대를 뒤흔든 창조산업의 산실, 픽사의 끝없는 도전과 성공
데이비드 A. 프라이스 지음, 이경식 옮김 / 흐름출판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나의 무지를 깨달으며 읽게 된 책이다. 일단 컴퓨터 애니매이션에 관심을 갖고 영화는 즐겼으면서도 정작 픽사는 알지 못했던 나의 무지를 탓해본다.
픽사에는 온갖 괴짜들이 살고 있는 것 같다. 경영주부터 시작하여 모든 일원들이 일중독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하게 한다. 몸을 움직일 정도만 되면 밤낮없이 연구소에서 일에 파묻혀 지내는 그들이 일궈내지 못할 일은 없다는 생각도 해 봤다.
토이 스토리를 처음 접했을때 느꼈던 그 신선한 충격이란... 컴퓨터 애니매이션이란 것이 이런 영화를 만들어낼수 있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그 작업을 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너무나도 동경하게 되었었다.
이러한 컴퓨터 애니매이션을 통한 영화를 만들고, 하나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곳이 픽사라고 한다. 알고자 했던 픽사였지만, 역시나 평범치 않은 구성원들로 꽉 채워진 집합체였다.
거창한 곳이나, 유명한 곳이 아닌 뉴욕 공과대학에서 시작한 픽사가 세계 최고의 애니매이션 업계로 성장하기까지의 이야기와 그안에서 영화산업에 큰 파란을 일으킨 괴짜라고 표현할수 밖에 없는 연구진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우리는 머릿속으로 상상하고, 책을 읽으며 공상의 나래만을 폈던 일들을 픽사는 현실로 이끌어낸 것이다. 대단하지 않은가?
역시 어떤 기존질서를 뒤집을 정도로 센세이션을 일으키려면 도전정신과 무한한 상상력이 기반이 된 창조력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일깨워준 픽사 이야기다.
픽사는 토이 스토리 외에도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니모를 찾아서 등을 내놓았다. 이러한 흥행작들을 다수 내놓은 점도 놀랄만한 일이지만 픽사의 직원중심 경영이 맘에 들었다. 영화가 끝나고 난 후 다른 작품으로 들어가기 전까지의 공백이 길면 당연히 인원감원이 주가 되었던 풍토속에서 픽사는 영화가 제작후 개봉되기 전까지 시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른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다음 영화를 구상하고 제작준비를 하며 계속적으로 유휴인력없이 인적자산을 계속 활용하며 경영한 것이다.
요즘처럼 불경기에, 실업난이 높은 시점에 픽사의 경영방침은 많은 배울점을 시사해주는 것 같다.
픽사의 창조를 본따라 픽사를 다룬 책을 만들면서도 여러가지 혁신을 가했다는 소개글을 보고 역시! 하는 생각도 들었다. 획일적으로 좌우상하 일정 여백을 두고 텍스트를 정렬해놓은 포맷과 달리 이 책은 왼쪽 여백이 더 많게끔 구성하여 책본문의 느낌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느낌을 받게 했고, 장과 장 사이에 보라색(단순한 보라색이 아니라, 색의 농도가 더 진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장으로 구분을 해 준 점이다.
책을 처음으로 접했을때, 어느세월에 이 두꺼운 책을 다 읽나 했지만, 한번 읽기 시작하면 픽사의 열정이 숨겨져 있는 페이지들을 휙휙 읽지 않고는 못배기게끔 되어 있다.
참 멋진 픽사와의 만남이었고, 상당부분을 활용하지 않고 잠재우고 있는 뇌의 일부를 깨워 매사 혁신을 꾀하는 아이디어를 창조해내야지 하는 욕심까지 부리게 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