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제목만 언뜻 보고서는 결코 소설이라 생각이 들지 않건만, 이 책은 소설이 분명하다. 그것도 10편의 소설이 한데 묶여 있는 멋진 표지를 자랑하는 책이다.

처음 이 책을 봤을때 나는 물리학 관련 책일거라고 아주 당연하게 생각을 했었는데, 책장을 뒤적여보니 그게 아니라는 사실에 놀랐고, 그 놀라움에 대한 자동반사적으로 표지를 훑어보다가 너무 멋진 그림을 보고 다시한번 놀랬다고나 할까.

미국의 주목받는 신예작가의 처녀작이라는데, 앞으로 좀더 살펴볼 필요가 있지 싶다. 아주 솔직히 말하면 각광을 받는 작가라고 하나, 번역을 받아들이는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문화적 정서가 달라서인지는 모르겠으나, 100% 선뜻 좋다라는 생각은 못했다.

소개글에 나와있듯이 우리네는 입밖으로 꺼내기 꺼려지는 그런 상황이 있을 것이고, 또 그러한 상황이나 기억이 지워지지 않은채 잔존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상처나 잊혀지지 않는 기억의 편린을 붙들고 아파하며 또 성숙하며 살아가는 것인데, 그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덤덤하니 편안하게 풀어놓은 내용 같았다.

10편의 소설에는 각기 다른 상처와 헤어나오지 못하는 과거의 기억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지극히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 이웃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과거의 기억으로 괴로워하고 있었다.

곪은 상처는 터뜨려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자신만의 아픔으로 간직하고 있던 상처들을 들춰내 이야기 함으로써 오래 묵혀있던 상처들이 하나둘씩 무뎌지고, 희미해지는 시간이 주어진다.

쓰레기봉지를 줍기 위해 구멍안으로 들어간 친구가 영영 돌아오지 못한 기억을 안고 있었던 주인공의 이야기가 담긴 <구멍>을 읽으면서 왠지 모를 섬뜩함과 주인공이 느꼈을 공포심이 전해져 오는 것 같았다. 또 자신의 어머니가 동성과의 관계에서 남달랐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 비밀을 끌어안고 살아야 했던 주인공의 이야기인 <코네티켓>을 읽으면서는 마음이 많이 불편했다. 어린 시절 주인공이 감당해야 했던 그 고통이 꽤 충격적이었을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불편했던 것 같다.

어찌됐든 어느 누구 하나 평온한 과거를 회상하고 있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들이 꽁꽁 끌어안고 있던 고통스러운 과거에 대해 털어놓을수 있었던 자체만으로 이미 어느정도 위로를 받고 마음이 평온해지지 않았을까 싶다. 기분좋았고, 행복했던 기억만으로 채워진 과거는 거의 없다. 아무리 고통스럽고 절망스러운 과거 시간이었다 하더라도 그 시간을 꿋꿋하게 잘 버티고 이겨냈기에 오늘 현재가 주어졌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아주 간단한 가르침도 받았던 책이다.

이 다음에 이 작가의 글을 만나게 되면, 이번보다는 좀더 많이 이해하고 더 반가워지기 바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05-24 1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런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