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섯 개의 수 - 마틴 리스가 들려주는 현대 우주론의 세계 ㅣ 사이언스 마스터스 11
마틴 리즈 지음, 김혜원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6년 10월
평점 :
신념이나 제도 그런 말 말고 나를 지탱하는 근원적인 지식을 알고 싶다면....자기 자신을 정당화하는 종교적 신념이 아닌 합리적이고 이해할수 지식을 알고 싶다면 이책을 읽어야 될것 같다.특히 나같이 왜 우리가 존재하는지 궁금하다면 그리고 그 지식의 바탕이 단지 신념이나 가치 같은 형이상학적 지식에 만족할것이 아니라면 이 책은 그런 욕구에 딱 맞는 책이 아닌가 싶다....
여기서 궁금해지는 것이 있다. 이책에서 이야기하는 N이라고 이야기하는 수는 원자들을 결합시키는 전자기력의 세기를 원자들 사이의 중력으로 나눈 값이 10의36승이라는 엄청난 수이다.그리고 엡실런이라는 또다른 수0.007의 값을 통해 별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과정을 통해 수소가 주기율표의 모든 원자들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제한다. 만약 엡실런이 0.006이나 0.008이라면 우리는 존재할수 없게 되는 값이다. 또 우주의 밀도 오메기는 은하,흩어져 있는 기체 그리고 암흑물질같은 우리 우주안에 있는 물질의 양을 측정한 것인데 이는 우주안에서 중력과 팽창에너지의 상대적차이가 가진 중요성을 말해준다. 만약 중력과 팽창에너지의 비를 나타태는 오메가가 특별한 임곗값에 비해 너무 높았다면 우주는 오래전에 붕괴했을 것이고 너무 낮았다면 은하나 별이 형성되지 못했을 것이다.우주 탄생초기의 팽창속도는 정교하게 조율되었다는 것이다. 네번째 수 람다의 측정은 반중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이 새로운 힘은 10억광년보다 작은규모에서는 뚜렷한 효과가 없지만 우리 우주의 팽창을 통제한다.우리우주가 휠씬 더 어두워지고 텅비게 되면 우주의 반중력이 중력보다 더 우세해진다. 우리에게는 너무 다행스럽게 람다가 작다. 그러지 않았다면 그 효과때문에 은하와 별이 형성되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다섯번째 수는 우주안에 있는 모든 구조(별과 은하와 은하단)의 씨앗은 모두 대폭발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우리 우주라는 천은 Q라는 한가지 수에 의존한다.이 수는 기번적인 두에너지의 비율로 100,000분의1의 수로 이 수가 더 작다면 우주는 불활성이 되어 구조가 만들어 지지 않을것이며 반대로 이 수가 크다면 우주는 격렬한 장소가 되어 어떤 별이나 행성계도 살아 남지 못하고 거대한 블랙홀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우리가 한번씩은 들음직한 우리 세계의 공간의 차원 3이라는 수이다. 이수는 특별히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내가 이렇게 장황하게 이 여섯개의 수를 이야기 하는 것은 내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것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이라는 종족은 항상 자기위주로 생각해 특별한 존재로 생각할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것은 내가 이곳에 정말 천문학적인 확률로 사실은 존재한다는 것이다.마치 내가 이세상의 특별한 존재인것처럼 ....사실은 그런 설명을 듣고 싶지 않다. 나는 왜 이렇게 존재하는가. 단지 요행을 잡은 행운아여서 아니다. 계속 내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말 다행스럽게, 또 다행스럽게,라는 단어의 나열 그것은 지금 우리의 존재가 단지 수없은 많은 선택중에 아주 특별한 선택이라고 설명되고 싶지 않다. 당연히 우리가 존재하는 것이 우연이나 행운이 아닌 정말 당연하고도 우주하고도 화해하면서 같이 할수 있는 지식...근원적인 지식, 형이상학적인 지식이 아닌 그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