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옷을 입은 소녀'

한아이가 두손을 모으로 방 한 귀퉁이에 오두마니 서 있다.

얼굴을 살짝 기울인 채 조붓한 어깨를 겸손히 내리고 있는 아이,

있는 줄도 몰랐지만 오래전부터 그곳에 있던 아이,

눈이 마주치자  '저, 여기 있는 것이 맞지요?라고 뭇는 듯 조심스럽게 바라보는 아이.

사람들의 무관심속에서 조용히 잊힌 듯하지만 그냥 그곳에 있었던 아이,

 

위 내용은 위대한 고독의 순간들에서 저자가 모딜이아니의 "푸른 옷을 입은 소녀"를 보고 표현한 글이다.

그림을 보면서 이런 이야기가 이해 될 줄은 아직까지 몰랐다.

벨 에포크에서 불쌍하게 제 명에 못 죽은 불쌍한 화가로만 알았는데...

모딜리아니를 이렇게 가까이 볼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고독의 순간들 더 갤러리 101 2
이진숙 지음 / 돌베개 / 2021년 6월
평점 :
절판


저자의 글빨에는 흡입력에, 내공이 느껴진다. 전에 러시아 미술사을 읽은 즐거운 기억에다, 말레비치의 나쁜예감을 표지그림에 올린 것, 이 양반 석사논문의 주제가 말레비치란 사실이 글의 힘을 뒷받침하는 듯...
이 양반 책이 언제 이렇게 많이 출간된 줄 몰랐다. 책값이 부담되는데.. 고민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마지막 막부의 쇼군이다.

2. 미토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개혁적, 존왕양이, 막부내부에서 왕따)의 일곱째 아들로 가까스로 쇼군이 되었으나 막부 내부에서 비주류이어서 그 기반은 안정적이지는 못했다.

3. 대정봉환으로 상황을 반전시키는 상당한 전략가(판을 뒤집는 승부사)이며, 천황의 신임(역량도 충분히 검증된 인물)도 있었으며 교토의 3만명 이상 동원할 수 있는 정규군이 있었다.

4.죠슈마와 싸쓰마번이 쿠데타(영국의 지원)를 일으켰을때 상당한 막부군과 프랑스의 지원의사가 있었음에도 내전을 포기하고 물러났다. 진정한 지혜는 물러날 때를 안다는 것이다. 범부의 가장 큰 착각을 피하는 행운을 일본은 결과적으로 누렸다.

5.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조선 고종의 갑오개혁등 방향은 비슷하였으나 핵심적인 가장 큰 차이는 외세를 끌여들렸는냐의 차이로 보인다. 동학농민혁명으로 청 일을 끌어들인 조선은 몰락(고종이나 대원군 민씨세력이 이때 그들의 운이 다한것을 알았다면 조선의 역사는 과연 ?)했고, 일본은 700년간 유지되온 막부 최후 쇼군 요시노부가 저문 해를 보고 그 때를 알아(이게 기적이 아닐까? 이런일이 실제로 일어나다니 놀랍다!), 물러나 메이지 유신의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오 히로부미등 능력있고 젊은 친구들의 메이지유신을 완성시켰다.(사무라이의 나라, 무신의 나라 어쩌면 메이지 유신은 그 무신들이 갖을 수 있는 긍정적 실용성. 신속한 의사결정, 위기에 대한 생존감이 그 성공에 영향을 미친게 아닌가 싶다.) 그들도 19세기 중반부터 우리 보다 더 혼란스러웠다. 메이지 유신 삼걸인 사카모토 료마와 오쿠모 도시미치는 암살, 사이고 다카모리는 할복자살할 정도로 일본이라는 사회는 사실 엄청난 사회적 스트레스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우리와 적대적 공생관계인 일본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빠른 리트머스 시험지, 메이지 유신, 막부의 마지막 장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와 조슈번의 토막파 리더인 기도 다카요시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궁금해진다. 평전이 나왔을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너를 까놓고 보면(그저 평범하다고 보기에는 이기적으로 보임). 깡촌출신, 부모는 무학, 가난함에도 그 희생으로 대학교 입학, 병역회피(?) 그럼에도, 영문과 종신교수(68세까지 버틸려고 하다 암 진단으로 66세 퇴직) 보장, 학과장인 로맥스와 계속된 불화(불화의 원인도 사실은 캐서린 드윗스콜과 관계되었고, 결국 40대 중년에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왕따를 자초한 결과를 얻음), 딸같은 사람(캐서린 드윗스콜)과 바람을 피웠어도 이를 덤덤하게 받아들이는 배우자(책은 처음부터 전적으로 스토너 입장에서 기술?), 결국, 캐서린이 버림받음(종신 교수인 스토너는 그 직을 지키고 강사인 캐서린이 사표쓰는 것으로 해결), 외동 딸에 대한 무책임(결국, 현실도피로 혼전 임신, 나이20 에 억지로 사랑업없는 결혼, 아들 하나 남겨두고 혼인 6개월만에 남편은 전쟁터에서 사망, 알콜중독자 전락)

 

이렇게 합리화할 수 있구나!!

 

나도 두렵다! 이렇게 살았는 지? 겉에 드러난 모습은 충실하고 성실하지만, 그 속살을 뒤집어 보면 사실, 별거 없다 인생이란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