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경우 유기체가 단기적으로 주어진 일생을 운영하기 위해, 그리고 장기적으로 종을 영속 시키기 위해서도 신체기관은 지극히 중요하다. 심장이니 눈이니 간이지 하는 것들은 모듈 즉 개별적인 국소장치들이다. 여러면에서 어떤기관은 뇌처럼 한 동물안에 전문화된 닫힌 공동체로 간주 할수 있다. 그러나 여러 닮은 점 가운데서도 한가지 예외가 있다.
뇌는 그 본성과 작용에 있어서 근본적을 닫혀있다. 어떤 감각으로도 뇌는 직접 관찰할 수 없다. 뇌는 보이지도 소리를 내지도 콩닥거리지도 않으며, 부풀었다 줄어들었다 하지도 않고, 맞아도 아픔을 느끼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뇌는 우리가 다름사람의 아픔을 공감하거나 경외심을 가지고 우주를 관찰할 때처럼 육체에 정박하지 않고 먼곳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가 뇌라고 부르는 유기체는 감각의 성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다. 깨어있는 상태는 감각이 인도하고 형성하는 꿈과 같은 상태인 반면 일상적인 꿈은 감각과 전혀 관련이 없다. 뇌는 세상의 풍부함을 받아 들이기 위해 감각을 사용하지만 감각에 의해 제한 되지는 않는다. 털끝만큼의 감각입력 없이도 일을 할 수 있다. 뇌의 본성과 하는 일은 신경계를 나머지 우주와는 다른 유형의 존재로 만든다.
뇌는 실재묘사기다. 그 계가 닫혀있다. 따라서 아주 다르다는 말의 의미는 그게 모든것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원하든 원치 않든간에 인간은 기본적으로 현실세계의 가상모형을 건설하는 꿈꾸는 기계이다. 그 것이 아마도 700그램의 질량과 14와트의 어둠침침한 전력만을 가지고 우리가 할 수있는 최선일 것이다.
위 내용은 꿈꾸는 기계의 진화의 일부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나는 가끔씩 가장 기본적인 사실에 대한 정의부터 다시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위에 싾아 놓은 수많은 지식들은 한순간에 허물어 질수 밖에 없지 않는가?
가끔씩 생각한다.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아는 것이 가장 어렵다. 그 기본적인 사실을 어렴풋하게 아는 것조차도 너무 어렵다. 이 책의 가장큰 장점이라면 내가 당연히 그럴것이라고 생각하는 기본적인 사실에 대한 질문에서 답이 나온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오게 하는것이 문제해결의 첫걸음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