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 익살스러운 딜레마는 우리인생의 숱한 환희의 재료입니다. 그런데 아킬레스씨, 이제 맨처음에 제기되었던 물음, 지금까지 우리가 토론을 하게된 발단이었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사고는 마음속에서 발생하는 것인가, 아니면 뇌 속에서 발생하는 것인가.>라는 문제 말입니다. 

아킬레스:이제 저는 <마음>이라는 말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것이 뇌나 그 활동에 대한 일종의 시적표현이라는 것 정도는 알고 있지만, 그 말은 <미(美)라는 말을 떠올리게 하는 군요. 그것은 공간의 어딘가에 위치지울수 없는 무엇이지요. 하지만 천상의 다른세계를 떠도는 무엇도 아닙니다. 오히려 복잡한 실체의 구조적 특성에 가깝지요. 

거북: 수사적 표현을 사용해도 무방하다면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신비화음을 만든 러시아 작곡자이자 피아니스트)의 음악이 갖는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 것입니까? 소리속에 있읍니까? 인쇄된 음표속에 있는 것입니까. 아니면 감상하는 사람의 귀나 마음이나 뇌속에 있습니까? 

아킬레스: 제 생각으로 <미>는 우리의 신경 발화가 뇌의 특정영역, 그러니까 <이름표가 붙은 방>을 통과할 때마다 우리가 내는소리와 같은 것 같습니다.우리는 이런소리에 대응해서 어떤 <실체 entity>가 즉 존재자<xisting thing>가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싶은 경향이 있습니다.다시 말하면<미>라는 말이 명사이기 때문에,우리는 미를 어떤 <사물 thing>쯤으로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미>라는 말은 어떤 사물도 표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말은 우리가 어떤 사건이나 지각을 경험할 때 말하고 싶어지는 편리한 소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거북: 좀더 이야기를 확장시키자면, 그러한 성질을 갖는 단어는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가령<미>,<진리>, <마음>,<자아>등이 그런 단어들이지요. 그 단어들도 우리가 발언하게 되는 소리에 지나지 않습니다.우리는 여러가지 기회에 신경발화에 의해 그런소리를 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각각의 소리에 대응하는 <실재>, 즉 < 실재로 존재하는 것 real thing>이 있다고 믿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러한 <의미>라고 부르는 것을 그에 비례하는 정도의 양만큼 물들이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군요.... 

결론적으로 우리가 고민하는 진리,자유, 행복,자아, 마음,등등의 단어들이 우리 사고의 많은 부분들을 차지 하지만 결국 실체가 없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