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태엽 오렌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2
앤소니 버제스 지음, 박시영 옮김 / 민음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화자인 15 알렉스는 일명 문제아다. 상대를 가리지 않고 공격하고 괴롭히고 해를 가한다. 사회의 암적인 존재이다. 그대로 방치하면 안되기에 값을 치르게 하고, 그리고 일명 교화를 시도한다루도비코요법이라고 일컫는 세뇌교육을 통한 무조건 반사(?)적인 착한둥이로 변화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을 통해 알렉스는 자연적인 인간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소설은 매듭이 지어진다. 스토리는 간략하게 이렇게 요약할 있지만 소설 안에 담고 있는 작가의 고민, 생각들과 사회고발적인 내용들이 눈길을 끌었다


신은 자체와 선을 선택하는 중에서 어떤 것을 원하시는 걸까? 어떤 의미에서는 악을 선택하는 사람이 강요된 선을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보다는 낫지 않을까?” (114p)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우리 안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성인의 반열에 오를 만큼의 선한 행위를 한 사람들 그들 역시 0% 악을 간직한 사람은 없다고 믿고 있다 (사실 생각은 나의 기독교적인 믿음이 바탕이다.많은 경우 인간은 순수한 마음으로 선한 행위에 가까운 선택을 있는 용기와 의지를 가질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선한 마음만 간직하고 있지 않다. 위에 인용글처럼 앤서니 버지스의 질문과 고민이 매우 반갑다. 나의 생각의 어느 지점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정인이 사건을 생각해보자. 보호가 필요한 아이를 입양하기로 결정한 두부부의 마음은 악보다는 선에 가까웠을 것이다. 입양이라는 행위 자체는 충분히 선한 행위임에는 부정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입양 했다는 사실은 그 이후에 뒤따라오는 입양한 아이를 돌보는 양육의 과정에서 일어났던 행위는 극악의 범주에 해당한다. 정인이 양부모의 이러한 모순된 행위를 앤더슨도 이 책에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행위없는 선한 마음으로 충분한가? 마음, 영혼없는 선한 행위는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가? 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행위와 마음의 우위를 가늠하기는 불가능하다. 선한 영향력의 방점은 영향력이 아니라, 선함에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선함은 행위 또는 행위에 따른 결과보다는 우리의 마음의 선함에 대해서 더욱 집중한다. 이는 결국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하는 것은 선함 마음이다. 이는 기계적이고 일시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욕망, 이기심, 드러내고 싶어하는 욕구..등등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내가 바로 그런 사람임을 인정할때 비로소 우리는 여전히 선함을 추구하며 살고자 하는 의지와 용기를 있는 인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만약 선하지 못함이 있다는 것을 무시하고 인정하지 않을 경우, 선한 , 자체로 무해하다고 생각하기에, 그때 부터는 나로 비롯된 것들 (생각, 행동...)은 잘못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판단되어지 시작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1-02-22 19: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한님! 텍사스에서 잘 지내시나요??? 고생이 말이 아닐듯요!!ㅠㅠ 저 같으면 옆 주로 피난 갔을텐데,,,,너무 끔찍해서,,, 이 미국이 요즘 왜이런데요??ㅠㅠㅠㅠ

han22598 2021-02-23 08:34   좋아요 2 | URL
라로님...소식 알고 계셨군요 ㅠㅠ 그혹독한 위터스톰 재난 다 겪어내고 ㅠㅠ 지난주 토요일에 한국 들어왔어요. 텍사스에 눈이 수북이 내리고 이틀동안 영하날씨를 유지하고....진짜 말이 안되는 일이죠. 기상이변에, 텍사스의 전기회사의 문제점이 겹쳐서...텍산 모두 동사될뻔했어요. 정말 이번 재난은 끔찍했어요. 2017년 Harvey로 인한 홍수급 정도라고 이야기가 나왔어요. ㅠㅠ 피해가 만만치 않은 것 같아요. 미국이 왜 이러는지. 휴우~

scott 2021-02-22 20:5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한님 꽁꽁나라 텍사막벗어나서 한국 하늘 위로 오고 계신건가요? 여긴 미세먼지로 콱 ㅠ.ㅠ

han22598 2021-02-23 08:28   좋아요 2 | URL
스캇님, 저 일요일에 도착했어요 ^^ 지금 격리 2일째에요. 코도 쑤시고 왔는데, 너무 아프더라고요. (혼자서 아프다고 소리 지르고...진상짓 ㅠㅠ)

행복한책읽기 2021-02-23 10: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선한 마음만으론 충분하지 않죠 라는 게 제 생각^^ 저 소설 흥미롭네요. 일단 찜^^ 한님 기후 난민 될뻔한 참사 피하셔서 다행이에요. 이런말 하면 누가 될것 같긴 하나, 저는요 삼시 세끼 차림과 집안일서 잠시 해방될 수 있는 이주 격리를 원하는 사람이랍니다^^;;;
엎어진 김에 쉬어간다고 한님께 휴식 시간이 되면 좋겠어요 ^^

han22598 2021-02-25 07:27   좋아요 0 | URL
사실 기후 난민 24시간 체험 했습니다. 집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은 만 하루동안 동사될 뻔했거든요 ㅎㅎ 아...강제 격리를 원하시는 분들에게 저는 행복한 불평을 하고 있네요...네. 주어진 기회 잘 활용해보도록 해볼게요. 감사해요 행복한 님!^^

noomy 2021-02-23 12: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기사 봤어요. 텍사스는 다른 주와 달리 독자적으로 전기 공급을 하더군요. 기상 이변에 전기 문제까지 정말 고생 많으셨네요. 한국에서 잘 쉬셨으면 좋겠습니다.

인용하신 문장은 개인적으로 무척 공감합니다. 자유 의지는 인간의 본질 가운데 중요한 부분임은 틀림없는 거 같아요. 또한 윤리에서 동기냐 결과냐는 참 어려운 문제네요. 예전에는 당연히 무조건 결과지~ 라고 생각 했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동기의 중요성도 만만치 않게 느껴져요.

han22598 2021-02-25 07:29   좋아요 0 | URL
한국은 정말 선진국입니다. 진짜 ㅠㅠ 비로소 깨달았죠.

동기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면서 먼가 더욱 조심스러워지긴 하는데, 반면에 너무 우유부단해지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예전에는 명확했던 문제들이 점점 그 경계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참...신기해요.

이카루스 2021-02-27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말하는 동물입니다. 걸리버여행기에 나오는 형태는 사람이지만 섹스와 폭력이 본성인 동물. 이 동물을 ‘사회화‘합니다. 교육과 제도로서. 자율적으로는 양심과 도덕으로..강제적으로는 법률과 처벌로서. 하지만, 인간의 본성이란 너무나 강력해서 삶의 한순간, 역사의 전환점이 되곤합니다. 인간의 역사란 오류와 승자의 기록입니다. 사회화에 길들여진 인간은 그 사회의 가치관과 역사관을 갖게됩니다. 어느 시대..어느 공간에 태어나면 그 사회에 맞는 인간이 되는것입니다. 사회란 관계를 말하는것이고, 필연적 사랑과 인정을 갈구하는법. 다른이..혹은 자기자신..더 나아가 신. 결국 신념으로 세상은 지옥을 만듭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이라크에 태어나 이슬람을 믿고 테러리스트가 되었을지 생각 해보세요.

han22598 2021-03-02 15:36   좋아요 0 | URL
댓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