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 개정판
이창래 지음, 정영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랫동안 책장에 꽃혀 있었던 이창래의 Native Speaker를 제치고, 먼저 이책을 읽었다. 한국 "가족"을 보러가기 전, [가족]의소설을 읽는 것은 오비이락격. 일인칭 시점 소설. 나 제리 베틀의 시선으로 바라본  베틀 가족에 대한 이야기이다. 가족의 탄생, 변화, 소멸, 갈등, 회복등에 대한 이야기를 59세 이탈리안-어메리칸 남자의 눈으로 서술되어지는 소설이다. 내용의 전개보다는 전개에 따른 화자의 생각과 성찰같은 내러이트브가 더욱 마음에 닿는 내용들이 많았고, 중간에 읽기를 멈추고 잠시 생각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어떻게 보면 때로 사람들을 안심시키는 것은 복잡한 언어보다는 그보다 더 폭넓고 깊은 소통 형태들인 것 같다. 이 생각은 더 이상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는 나 자신의 날카로운 감정과도 일치한다. 최소한 순수하게 언어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한에서는 그렇다. 그리고 이 삶에서 우리에게 남은 유일하게 진정한 것은 기쁨 비슷한 것으로 바뀔 수도 있는 즐거움과 슬픈 경이로움을 함께 나누는 상황 뿐인 것 같다." (구판,1권 52p)


제리가 일하는 여행사에, 히스패닉 고객들을 위해서 스페인이 능한 통역자 마일즈를 채용하지만, 정작 마일즈는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것만큼 몸짓을 훨씬 많이 사용하는 상황을 보고 제리가 한 생각이다. 편하고 안전하고 무해한 사람이 있다. 보통 우리가 말이 통하는 사람이 편한 사람이라고 하지만, 실상 말 통하는 것보다 같이 있을 때 아무 거리낌 없이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 진짜 편한 사람인 것 같다. 그런 사람하고는 어떠한 불편거리가 남아있지 않은체 오로지 나와 상대의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즐거움과 슬픔의 경이로움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들만 남아 있다는 것을 이렇게 이야기 한건 아닐까?


"우리는 서로에게 관대했고, 점잖았으며, 아주 괜찮기까지 했다. 물론 괜찮다는 것이 서로 기꺼이 대화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가끔 신랄한 얘기가 오가지 않는다는 얘기는 아니다" (구판, 2권 248p)


서로 떨어져 살고 있던 가족들이-제리 아버지, 아들부부, 사위- 모두 함께 모여 살게 되면서 그들 가족가운데 변화를 묘사하는 부분이다. 괜찮다는 것이 기꺼이 대화하려는 한다는 것이라는 표현이 맘에 든다. 사실 남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보자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안다면 이말이 참말임을 깨달을 수 있다. 나 이외의 사람에게 이야기할 기회를 준다는 것...참 괜찮은 세상을 이뤄가는데 가장 큰 첫 걸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얼마 전에 나온 신간 [My Year Abroad]를 포함해서 총 6권 소설이 나왔던데, 찬찬히 한권씩 다 읽어보고 싶어졌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2-15 15:0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한님 창래 리 이번 신간 저도 찜 함 한님 어서 어서 가족분들 무사히 만나시길 바래요 건강 하게 ^.^

han22598 2021-02-18 14:18   좋아요 1 | URL
저도 찜! 함께 찜해두고 읽어요 스캇님 ^^

han22598 2021-02-25 07:50   좋아요 1 | URL
한국에 올때 샌프에서 갈아탔거든요. 공항 서점에 들렸는데 My Year Abroad는 이미 베스트 셀러더라고요. 역시! (그냥 스캇님에게 말해주고 싶었어요 ㅎㅎ)

레삭매냐 2021-02-15 15: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이창래 샘 강연회에 가서
싸인 받은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보니 얼마 전에 인스타에서
샘의 사진을 보았는데, 신간이
나온 모양이네요. 아마 역서로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팬으로 기다리
겠습니다.

최고작은 역시나 <생존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han22598 2021-02-18 14:20   좋아요 0 | URL
어머나! 이미 만나기까지 하셨다니...레삭매냐님 부럽습니다. ^^
위키보니까 잠깐 한국에 머물실때가 있으셨더라고요.

유투브로 영상 몇개 찾아서 봤는데,
인상도 좋으시고, 말도 겸손하게 잘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레삭매냐님이 최고로 뽑은 [생존자] 먼저 읽어봐야겠어요. 감사해요!

페넬로페 2021-02-15 16:1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조만간 가족 만나시니 많이 설레시겠어요^^
그동안 건강 잘 챙기시고 무사히 귀국하시길 바래요**
저는 이창래의 ‘척하는 삶‘ 을 좋게 읽었는데 신간도 읽어보고 싶어요^^

han22598 2021-02-18 14:22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페넬로페님!
[척하는 삶]도 괜찮은가 보네요. 이분 책에 대한 리뷰들이 다들 좋으시네요 ^^ 다음 읽을 책들이 기대가 되네요.
한국가서 격리하는 동안, 왠지 서재놀이 열심히 할 것 같은데, 자주 뵐게요 ^^

초딩 2021-02-15 19:02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가족이라는 단어가 어릴 땐 아주 싑고 친근했는데
나이를 먹을 수록 힘든 단어네요 :-)

han22598 2021-02-18 14:23   좋아요 1 | URL
맞아요. 초딩님! 어릴때는 전혀 부담스럽지 않았었던 것 같은데, 조금씩 무게감이 생기게 되는 것 같아요.잉 ㅠ

희선 2021-02-16 01:2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어느 나라 사람이나 식구가 가장 가까우면서도 부담이 되기도 하지 않나 싶어요 다른 사람보다 편하니 함부로 하기도 하고, 그러지 않으면 좋을 텐데... 함께 살지 않으면 핏줄이라 해도 멀어지기는 해요 다른 사람은 반대로 생각할지도 모를 텐데... 핏줄이기에 멀리 살아도 끊어지지 않는다고... 둘 다 맞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갈등하기도 하지만 괜찮아지는 듯하네요

이창래 소설 한권밖에 못 봤네요 새로운 소설이 나왔군요 한국계로 미국에서 살고 소설을 쓰다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희선

han22598 2021-02-18 14:36   좋아요 1 | URL
가족을 보고 간다고 하고선, 가기전 며칠동안 엄마랑 전화로 이미 한판했어요. ㅎㅎ (아직도 티격태격 많이 합니다. ㅋㅋ) 기분이 안좋다가도...티격태격하려고 가는 것 같기도 하고...그럽니다.

저는 이창래 작가님 이제서야 알게 되었는데, 이미 많이 알려진 작가이신 것 같더라고요. 사실 이창래 작가님은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니라 영어이지 않나 싶어요.

noomy 2021-02-16 14: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귀국해서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래요.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요~^^

han22598 2021-02-18 14:36   좋아요 0 | URL
noomy 님 감사해요! 아마 한국가게 되면 알라딘서재에서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