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분들의 상처, 고통,쓰라림 이게 불가역적이다.

 

"불가역적"에는 딱 한 가지가 있다.

 

그들의 상처를 되돌릴 수가 없어서,

어떤 방법으로도 복구가 불가능한 고통의 시간이 "불가역적"이란 말이다...........

 

어디서 불가역적이라는 말을 함부로 처바르는가?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12-31 09: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yureka01 2015-12-31 10:05   좋아요 2 | URL
그러게요..덧글 또한 두말없이 공감 팍팍 됩니다....
여전히 친일파들의 후손들이 이 사회의 기득권이된 원인이었습니다.

그런데 더 심각한 문제는,
일본의 소수 극우파들의 기득권 세력들이 일본의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 제일 안타깝습니다.

독일은 히틀러를 선택하는 바람에 독일 국민들의 착시로 독일국민이
많은 자발적 희생의 상처를 받은 걸 그들은 알고있거든요.
그래서 국민여론이 다시는 그런 총통을 뽑아서 국가가 위험에 빠지지 않고
국민이 그 고통을겪지 않겠다는 표시가 전후세대의 기본 가치관이었거든요.

이에 반해 일본 국민은 군국주의자들의 폭압에 찍소리도 못하고
오히려 동조해버리고, 미국에게 전쟁의 패배가 자신들이 희생자라고
여기는 관념이 일본 사회 전체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죠.

국가가 전쟁을 벌이므로써 야기되는 국민의 고통은
전쟁을 일으켜 침략하는 국가의 국민이나 침략 당하는 국가의 국민이나
고통의 정도는 크게 다르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일본의 침략 역사에서 죽어간 일반 시민들의 고통이
후손들은 자랑스럽고 고귀하다는 말도 안되는 주입된 사상의 피해자들이거든요.그래서 사과에 인색한 경우이더군요..

어느 정부이든지 전쟁을 일으키거나 침략을 받는다면,
역시 국민의 피를 요구하게 되거든요.

미국의 전쟁 사상자가 그러 했고 이라크의 국민이 그러 했고..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다 마찬가지였으니까요.


2015-12-31 15: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표맥(漂麥) 2015-12-31 10: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바란 건 몇 푼의 금전적 보상이 아니라 보편적 인류애에 바탕을 둔 진정한 사과였지요... 치적이 될 지, 치졸한 치욕으로 남을 지... 앞으로 어떻게 해 가는가가 관건인데... 일본 아이들은 개념이 없는건지... 에휴...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yureka01 2015-12-31 10:27   좋아요 2 | URL
일전에 일본에서 아시아여성기금으로 일본내 모금액 6억엔,일본정부 출연금이 46억엔...

피해 할머님들은 이 돈을 한푼도 받지 않았죠.
할머님들이 바라는 게 돈이 아니라 그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후대들에게 그런 고통에서 교훈을 얻도록 가르치는 일이었습니다.

누군 그러더군요..그 돈이면 평생 잘먹고 잘살 수 있다고 하던데,
할머님들이 이제 살면 얼마나 산다고 돈이 필요한 게 아니라는 것쯤은
모르더군요....



감사합니다.~~~내년에도 좋은 책 소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