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흑자생활의 법칙 -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은 당신을 위한
박종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6월
평점 :
우리들은 너무나도 소비를 권하는 사회에 살면서, 흑자생활을 생각하기에는 너무나 멀리 와 버렸는지도 모른다. 우리들은 월급날이 되면, 월급이 로그인했다가 로그아웃되기 시작해서 며칠 후면 잔고가 없어지는 나날을 보내고 있는 현실에 살고 있지 않는가! 먼저 소비를 당겨서 하고 이후에 갚아가는 삶을 사는데 너무나도 익숙해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예기하기 위해 저자는 책의 앞부분에 행동, 실험 경제학 예기를 많이 하고 있는데, 손실회피성향, 정박효과 등은 정말 우리들이 미처 알지 못했던 우리들의 행동패턴을 설명해주고 있다. 소비를 예기하는 부분에서 저자는 절약이라는 것이 싼 것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필요와 선호를 신중하게 고려해 천천히 소비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정말 가슴에 와 닿는 말이었다.
이렇게 우리들의 소비에 대해서 예기한 다음에 우리들이 정말 많이 사용하는 신용카드에 대해서 예기를 하고 있는데, 정말 이미 알고 있었던 것들도 있지만 마음에 새길 것이 많은 부분이었다. 무엇보다도 “쓰고, 벌고, 갚기에서 벌고, 모으고, 쓰기로 바꿔라”라는 저자의 일침을 깊이 새길 수 있는 부분이었다.
이렇게 신용카드에 대해서 예기한 다음, 저자는 저축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우리나라의 저축률이 OECD국가 최하위이며, 저축을 하지 않으면서 모두 소비형태로 돈이 쓰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정말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기분이었다. 금리가 낮아도 예, 적금을 해서 계획된 소비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게 되었다.
보험예기를 하는 부분에서는 너무나도 많은 보험회사들이 종신보험위주로 판매를 하고, 노후걱정에 대해서 부풀려 단기적금을 들어야 하는 사람들도 장기보험을 가입하도록 해서 너무나도 어긋난 삶을 살도록 한다는 예기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흑자생활로 가는 투자에서 저축과 투자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집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 부분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것은 “불행해지고 싶다면 남과 비교하라”였다. 정말 우리는 너무나 많이 주변사람들과 비교함으로써 우리들 스스로를 불행의 늪으로 밀어 넣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고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현재 지출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과 저축을 어떻게 해야 하며, 투자는 또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가계부를 쓰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으며, 현금흐름표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예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