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달의 기술 - 10초 안에 결과를 얻는
사사키 케이이치 지음, 홍성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매일 매일 주변의 사람들과 소통을 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소통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부분은 말과 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어떻게 하면 좀 더 잘 우리의 뜻을 잘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끊임없이 해 보게 된다. ‘예스’라는 답을 얻기 위해서 과연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을 말이다. 그럼 과연 어떻게 말을 해야 할 것인가 말이다. 말을 잘 하는 것은 원래 타고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고 있던 나에게 이 책의 저자는 과감히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나의 편견을 깨부수어 주었다.
“말을 잘하는 것은 재능이 아니라 기술이다”
책의 도입부를 열고 있는 이 강력한 메시지 하나가 이 책을 읽도록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편견을 깨부수는 이 말은 저자가 과연 어떤 기술을 통해 말을 잘하는 지혜를 알려주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총 3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1 장에서 “대화의 90%는 전달에 달려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러한 전달법을 배우는 것을 요리의 조리법에 비유하여, 이 책의 조리법에 따라 글을 만들면 누구나 일정 수준의 글을 만들 수 있다라고 강력하게 예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러한 전달법은 처음에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처음 만드는 요리처럼 조리법 순서를 잘 지켜야 함도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또한 저자는 이러한 전달법을 독학으로 배우거나 장기간에 걸쳐서 배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기간에 전문가에게 배워서 단숨에 수준을 끌어올릴 것을 예기하면서 이 책의 전달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예기하고 있다. 정말 흥미롭기 그지 없다.

그리고 만나게 되는 2장이 이 책의 핵심으로 “어떻게 해야 내 말이 통할까”에 대한 궁극적인 대답을 제시해 준다. 저자는 이 책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단순히 말을 잘하게 되는 방법만이 아니며, 적극적으로 삶을 개선하고 꿈을 이룰 수 있는 열쇠를 갖자는 것이라고 예기한다. 정말 깊은 울림이 있는 부분이었다. 이 책이 단순히 말을 잘하게 해 주는 방법론만을 예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를 어떻게 전달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하도록 해 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었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노’를 ‘예스’로 바꾸는 기술 3단계를 가르쳐 주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 3단계 중에서 2단계가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저자는 ‘예스’로 바꾸는 7가지 방식을 예기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마지막 장인 ‘3장 단번에 통하는 말의 기술’에서 저자는 강한 말을 만들 것을 예기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말을 통해서 감동을 이끌어 낼 것인지에 대한 예기를 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 밥 무어헤드 목사의 글들을 예시하며서 ‘강한 말’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확실히 전달해 준다. 그러면서, 강한 말을 만드는 기술로 다음의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정말 말을 어떻게 전달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예스’를 얻어 내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담은 책으로, 작지만 고마운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 읽고 나서 책 곳곳에 그은 밑줄과 더불어 포스트 잇의 메모를 다시 한 번 곰곰이 살펴보면서 많은 것을 배운 책이구나 하는 생각을 다시 한 번 더 해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