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말의 기술 - 화내거나 큰소리 내지 않고
최찬훈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와 화려한 언변을 가지고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이들을 보면 정말 부럽기도 하고, 어떻게 해서 그럴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기도 하게 된다. 또는 TV에서 입담을 자랑하는 연예인들을 보고 있노라면 정말 말 잘한다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도 대화를 잘 이끌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래서, 대화나 토론에 대한 몇 권을 책을 읽어보았었는데, 이 책은 완전히 내 예상을 깨는 방향의 책이었다. 저자가 프롤로그에 예기했듯이, 이 책은 토론의 이론서가 아니라 실기서이며, 대화를 유머러스하게 이끄는 법에 대한 책이 아니라, 우리들이 일상 생활에서 겪는 것들에 대한 예기였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회사 상사나 고객이 나를 자극하면서 나를 무너뜨리거나 화나게 만들려고 할 때를 상상해 보면 될 것 같다. 과연 이럴 때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한단 말인가? 이에 대한 지혜를 이 책을 통해서 배울 수 있었다.

우선 이 책은 다음과 같이 크게 3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PART1. 말의 전쟁은 이렇게 시작된다 _ 기본기 다지기

 PART2. 이기는 말 VS 지는 말 _ 응용 기술 익히기

 PART3. 승리는 준비된 자의 것이다 _ 패러다임 전환하기

먼저 Part1에서 저자는 ‘<100분 토론>은 잊어라고 하면서 이야기를 열고 있다. 우리들이 흔히 생각하는 100분 토론과 같은 장은 실제 생활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가 준비된 되지 않은 상태에서 느닷없이 말싸움은 시작된다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들은 방어하는 지혜를 배워야 하며, 이런 방어의 첫 걸음은 분류하기라고 예기한다. 사실 Part1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저자의 다음 말이다.

  “거듭 말하지만 논리력은 허상이다. 실전에서는 논리력이 아니라 논거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논거 공격의 기본 원칙 3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상대의 주장에 바로 반론을 펴지 말고 우선 논거부터 요구해라.

2.     상대의 논거에 대해 요구하는 디테일 수준을 높여라

3.     산대가 제시한 논거의 신뢰도를 떨어뜨려라.

 

 Part 2에서는 다양한 응용 기술을 만나게 된다. ‘동일화 전술, 넓히기와 좁히기 전술, 모순 전술, 올가미 전술, 물귀신 전술, 매도 전술 등다양한 기술들을 만나게 된다. 이 중에서 우리들이 일상 생활에서 자주 당하는 전술 중의 하나가 올가미 전술과 매도 전술이 아닌가 한다. 저자도 이 책에서 언급했듯이 대한민국 사회에서 윗사람에 대한 반박은 예의 없는 신참으로 보이기 쉬우니 말이다. 그래서, 그런지 특히나 직장 생활을 하면서 예의 없는 사람으로 찍히지 않도록 하려면 이런 올가미 전술에 잘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치인들을 비유하면서 각종 전술들을 설명하는 에피소드들도 상당히 재미있었다. Part2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저자의 다음 말이다.

   “꼭 기억하자. 절대 수세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요구가 최고의 공격이다.”

 

 Part3에서는 이 책의 저자가 이 책을 집필한 마음을 확실히 읽게 되는 다음 부분을 만나게 된다.

이 책의 목적은 아무에게나 마구 싸움을 걸어 타격을 입히는 무절제한 파이터가 되는 법을 안내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무례하고 치사한 공격으로 자신의 이익과 만족감을 추구하려는 사람들에게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안내하는 책이다.”

이 책을 다 읽고 이와 같이 말로써 다른 사람을 이긴다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하면 말 싸움에 휘말리지 않고 지혜롭게 살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그 해답을 저자는 평소에 무게감 있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비판을 최대한 아껴야 한다로 정의하고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에피소드와 더불어 토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떻게 말 싸움에서 현명하게 대처할 것인가를 배울 수 있는 좋은 책이었으며, 정말 이 책의 마지막 장은 짧지만 가장 강력한 인상을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