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의 발견 - 과학이 밝혀낸 중년의 놀라운 능력
데이비드 베인브리지 지음, 이은주 옮김 / 청림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어떻게 늙을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 대부분의 책들이 은퇴 이후의 삶이나 재정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이 책은 인류에게 있어서 중년이 어떤 의미인지를 예기하는 책인 듯하다.

 먼저 저자는 우리들에게 현재 인류가 겪고 있는 중년이라는 나이가 어떻게 해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지 역사 속에서, 화석 속에서 증거들을 찾아서 보여주고 있다. 왜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중년이라는 나이까지 진화를 했으며, 주름과 흰머리 그리고 살이 찌는 이유 등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저자가 이 분야에 해박한 지식의 소유자구나 하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저자는 다음으로 중년이 가장 지혜로운 시기이며, 이 시기에 인지력이 가장 뛰어난 뇌를 가지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다른 동물들에 비해서 왜 인간의 뇌가 큰 지 등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중년기의 행복을 다루는 부분은 정말 조용히 한 번 더 읽어보고 싶은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중년기의 로맨스, , 출산과 아기 등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다. 특히나 여기서 여성의 폐경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 부분은 흥미롭다. 여성이 생식을 끝나버리게 되는 이유로 다음과 같은 속설을 들고 있다.

  속설 1: 대다수 암컷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번식을 멈춘다

  속설 2: 폐경은 여성이 자식 낳기를 그만두는 때다

속설 3: 폐경은 여성의 몸에 난자가 바닥날 때 일어난다.

속설 4: 폐경은 여성의 몸에 난자가 바닥나기 때문에일어난다.

속설 5: 폐경은 누구에게나 부정적인 경험이다.

속설 6: 폐경은 그저 현대 여성들이 너무 오래살기 때문에 일어난다.

  중년의 남성이 겪게 되는 위기에 대해서도 예기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19금의 예기도 많다. 하지만 결코 외설적이지 않다. 인간의 본 모습을 보려고 한 저자의 의도가 돋보이는 부분이었다.

중년의 나이를 그냥 숫자로만 보지 않고, 인류가 중년기를 겪게 되는 이유와 더불어 중년이 가장 지혜로운 시기이며, 왕성한 활동을 할 수 있음을 예기하고 있는 이 책은 정말 흥미로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