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 700년 역사에서 찾은 7가지 혁신 키워드
스티븐 존슨 지음, 서영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 혁신적인 생각들은 유레카라고 일순간 외치며 발견되는 것인가? 머리에 번개와 같이 무언가가 섬뜩 하고 스치고 지나가면서 생기는 것인가? 너무나도 빨리 많은 것들이 쏟아져 나오는 지금의 시대에 정말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었다.
무엇보다도 다윈의 진화론을 언급하면서, 다윈이 역설을 설명하는 도입부는 무언가 호기심을 끌어당기는 것이 있었으며, 혁신의 공간이라는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모래시계와 같은 롱줌(long zoom)이라고 저자가 명명한 자연과 문화를 연결하는 통로를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사실 이 책을 원래 읽게 된 것은 정말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어떻게 하면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이 책은 그런 아이디어를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우리가 오늘날에까지 이른 문명사회를 이루면서 일어난 여러 가지 역사적 발명이나 발견에 대해서 어떻게 그러한 일들이 일어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배경과 더불어, 그러한 혁신적인 일들이 일어날 수 있었던 7가지 패턴을 정의하고 있는 책이었다. 7가지 패턴으로 이 책에서 저자는 “인접가능성, 유동적 네트워크, 느린 예감, 뜻밖의 발견, 실수, 굴절작용, 플랫폼”을 예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나에게는 이러한 패턴 중에서 다소 충격적이고 재미있었던 부분이 두 번째에 나오는 ‘탄소를 기초로 한 생명체’라는 것에서 시작하는 생명체의 기원을 찾아가는 것을 사례로 들어서 보여주는 인접가능성이었다. 정말 지구에 많지도 않은 탄소가 주변의 원소와 쉽게 연결되어 질 수 있고, 물에 잘 녹지 않는다는 것에 의해서 원시스프 속에서 정말 많은 아미노산을 만들어 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을 우리들의 아이디어를 만드는 네트워크에도 혼돈의 가장자리에 있으면서 주변의 인접한 사실이나 발견, 발명들로 연결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 탁월한 아이디어이며, 혁신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것은 뒤에 나오는 굴절작용에서 예를 드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기술에 이르러 브라콜라주이며, 이것이 바로 문 뒤에 숨겨진 가능성을 상상하라는 굴절작응에 의한 것이라는 것도 참으로 재미있는 부분이었다.
이러하듯, 이 책은 다양한 이야기와 상상력, 그리고 인류 문명사에 남아 있는 오늘날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발견과 발명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다. 정말 광범위한 정도에 놀라고, 그 다음에는 생각을 열어주는 책이라는 점에서 다시 한 번 놀라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