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교수님이 알려주는 공부법
나이절 워버턴 지음, 박수철 옮김 / 지와사랑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철학이라고 하면 막연하게 너무나 어렵다고만 생각을 하고, 또 살아가면서 철학이 뭐 필요할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기피하는 학문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한다. 그런데 기실 알고 보면, 우리들이 지금 하는 모든 학문의 근원이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며, 철학에서 파생되어져 오늘날에 이르러 수학, 물리, 생물학 등으로 세분화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철학이라는 학문이 정말 중요하구나 하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학창시절에 철학이라는 과목을 배운 경험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대학을 가면서 전공으로 철학을 선택하지 않는 한 철학이라는 학문을 접할 기회는 정말 전무하다. 그래서 철학을 어렵게 생각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철학이라는 학문이 왜 지금의 시대에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는가? 하는 궁금증이 든다. 기실 철학이라는 학문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고도 잘 살아왔는데 말이다. 이에 대한 해답이 아마도 이 책의 출간 목적이 아닌가 한다.

이 책은 우리 성인들을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앞으로 수능을 준비하면서 논술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수험생들에게 철학이라는 학문이 가지고 있는 논리적인 사고력과 더불어 읽은 것을 바탕으로 해서 그 속에 숨은 것을 끄집어 내는 능력, 그리고 토론을 함에 있어서 질문하고,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의사소통을 하는 등에 대한 지혜를 배우는 것, 그리고 논술과 에세이를 씀에 있어서 표절은 피하면서 어떻게 독창적으로 글을 쓸 것인가에 대한 예기들을 들려 주고 있다.

철학이라는 학문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는 현학적이거나 모호한 표현을 배제하고, 철학을 학문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읽기, 듣기, 글쓰기, 토론하기 등, 공부를 하면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것들에 대한 예기를 하면서, 철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책이기도 하다.

그러하기에 이 책의 독자층을 따로 구분할 필요는 없어 보이지만, 이 책을 다 읽고 난 다음에 느끼는 것은 이 책은 확실히 뚜렷하게 철학이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 책을 접하는 것보다는 철학이라는 학문을 배우는 기법을 통해서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읽는 책은 어떻게 볼 것이며, 상대방과의 대화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