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르만 헤세 세트 - 전3권 - 사랑과 지성의 향연 ㅣ 헤르만 헤세 : 사랑, 예술 그리고 인생
헤르만 헤세 지음, 폴커 미켈스 엮음, 이재원 옮김 / 그책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 이름만으로도 문학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경외감을 느낄 수 있을 만큼의 인물인 헤르만 헤세, 그의 작품과 일기, 서간문, 메모 등에 담겨진 헤르만 헤세의 삶, 사랑, 그리고 예술에 대해서 들여다 보자는 시도에서 엮어진 보석과도 같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시절 [데미안], [싯다르타] 등을 읽으면서 자아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정말 독일 문학가에 의해서 불교적인 절대경지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것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었던 것을 기억하면서 헤르만 헤세를 생각하게 되었다. 그의 이름하면 떠 오르는 것은 나에게 있어서 고3 시절 읽은 데미안인데, 지금은 그 때 읽을 당시의 감정, 사색의 시간과 공간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내가 삶의 경험을 통해 저자를 대하는 마음이 바뀌었기 때문은 아닐까?
헤르만 헤세의 저술에서 발췌된 문장 하나하나가, 그리고 그가 지인들과 주고 받았던 서간문 하나 하나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무한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권의 책을 읽으면서 줄거리를 따라 가면서, 주인공이 겪는 갈등을 통해서 한 가지 삶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면, 3 권으로 구성된 새로운 시도를 통해 나온 이번의 엮음책들은 정말 또 다른 맛과 향기를 주고 있었다.
헤르만 헤세의 사랑을 예기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헤세에게 있어서 그의 문학이 사랑의 대상이었는지, 아니면 그가 정말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는지를 생각하지 이 전에 지금 현재 나 자신이 사랑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생은 사랑으로 의미를 찾으리”라는 부분에서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 사랑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그의 문학작품 속에서 사랑에 대해서 예기했던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어 좋았다.
이렇게 나의 경우는 헤세의 사랑에 대한 책을 먼저 읽으면서 사랑의 감정에 푹 빠진 이후에 ‘헤세의 예술’이라는 책으로 넘어갔다. 그의 작품 활동 하나하나가 예술적인 행위였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 창작활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생각해 보고, 나아가 내 자신이 현재 예술활동을 하지는 않지만 인생을 살아가면서 최소한의 창작활동을 해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작가로 산다는 것은’이라는 부분에서 헤세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민중’의 판단에 대한 고마움과 더불어 무언가 말하고자 한 바를 느낄 수 있었다. 글을 쓸 때 아름답게 쓰려고 하기보다는 진실된 것을 쓰려고 하면 아름다움은 저절로 따라온다는 헤세의 말이 가슴에 남는 부분이었다.
이렇게 사랑과 예술을 거친 후, 헤세의 인생이라는 책을 들게 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나이든다는 것은’이라는 부분에서 “나이가 들면서 봄은 두려워지는데 반해 가을은 점점 더 좋아지는군요”라고 한 헤세의 편지글을 통해 현재의 나 자신이 나이들어 가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에 대한 사색을 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책들은 헤세라는 대문호의 작품과 그의 글들을 엮은 것에도 큰 의의가 있으며, 또한 나 자신을 돌아보고, 삶과 사랑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제공했다는 데 있어서 정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책들이다. 이 책들의 한 장에 적힌 헤세의 글들을 읽으면서 순화되고 정제된 느낌을 가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