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도둑 - 당신의 기분을 엉망으로 만드는 기분도둑을 경계하라!
크리스티안 퓌트예르 & 우베 슈니르다 지음, 박정미 옮김 / 좋은생각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최근에 읽은 자기계발서 중에서 독특한 느낌이 책이 있이 있다는 말을 주변에 많이 하게 되는 이 책 [기분도둑]은 우리들의 기분을 언짢게 만드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예기하고 이러한 요인들에서 해방되어 기분이 좋아지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책의 구성이 여느 자기계발서와는 달리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이 책은 분류상으로는 자기계발서이지 느낌상으로는 심리치료나 뭐 그 비슷한 곳에 두어야 할 것만 같인 책이다.
푸념, 불신, 조바심 등과 같이 우리 주변에 같이 일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듣게 되는 각종 부정적인 말들을 통해 우리는 우리들의 기쁘고 행복한 기분을 도둑맞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 이 책은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력에서 어떻게 하면 벗어나, 우리들 자신이 온전하게 행복한 마음을 그대로 간직하고 살아갈 수 있을 지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7가지 기분 도둑에 대해 예기하며, 각각의 기분도둑이 우리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치며, 이런 기분도둑으로부터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을지에 대해 진지하게 대답해 주고 있다.
첫번째 기분도둑으로 예기하는 푸념 도깨비는 정말 주변에서 많이 만나게 되는 도둑이다. 직장동료 중에, 아님 가족 중에, 어느 만화에 나오는 ‘징징이’처럼 늘 주변의 일들이나 사물에 징징되며 푸념만 늘어놓는 캐릭터가 한 두 명은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푸념 도깨비에게는 우리들이 그러한 푸념에 맞짱구를 치지 말고, 긍정적인 예기를 하도록 해, 우리들이 가진 긍정적인 마인드를 이런 푸념 도깨비에게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저자는 예기하고 있다.
다음으로 [불신덩어리, 똑똑한 척하는 밉상, 조바심 바이러스, 생생막 내는 떠버리, 디지털 몬스터, 타성의 노예]까지 우리들의 기분을 망치는 도둑들을 예기하고 있는데, 이 중에 나는 “디지털 몬스터”라는 현대의 문명이 만들어 낸 기분 도둑을 읽으며 고개가 절로 끄덕여 졌다. 디지털 문명, 디지털 사회가 되면서, 우리들은 사이버 상에서만 대화를 하다 보니, 정작 친구들을 만나서는 스마트폰으로 오는 카카오톡에 대한 답이나, 트위트를 follower하며, 친구들과의 대화는 단절되고 어색한 “스마트 아일랜드 족”라고 표현한 최근의 신문지상의 신조어를 보면서 우리들이 얼마나 디지털 몬스터에게 영향을 받고 사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정말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인터넷 상의 뉴스에, 아니면 속칭 ‘낚였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가 원하지 않던 정보로 인해 기분을 망친 경험이 한 두번 쯤은 다들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이러한 디지털 몬스터에 대처하는 저자가 제시한 방법에 정말 공감을 하게 되며,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진다.
저자는 마지막 장에 독자들에게 “행복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정말 행복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우리는 돈을 벌어 소비를 하면서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데, 정말 이런 소비주의적 행복론이 무엇인지, 진정 우리들을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과 함께 같이 생각해 볼 것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이 책에서 가장 소중한 부분이 아닌가 한다. 기분도둑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이 책의 원제가 궁금해 지는 것은 아마도 저자는 기분도둑들보다는 독자들이 행복이라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길 원하지 않았을까 하는 심정에서다. 이 책을 통해 행복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것과 우리들의 행복을 망치는 기분도둑으로부터 행복함을 도둑맞지 않을 지혜를 배워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