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수상록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10
미셸 드 몽테뉴 지음, 구영옥 옮김 / 미래와사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고전을 읽는다는 때로는 새로운 도전이 되기도 합니다.

저에게 있어 <수상록> 이 그런 고전입니다. 아주 어린 시절, 학교 과제로 이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쓴 기억이 여렴풋이 납니다. 그 당시의 기억으로 꽤 이해하기 어렵고, 독후감 쓰기에는 더욱더 어려운 책이었다는 기억은 남아 있습니다.

이제 성인이 되어서, 꽤 나이가 든 지금에 이 책을 다시 읽으면 어떨까하는 생각으로 어려운 이 책을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책 제목 때문에 많은 수상록 중에서도 미래와사람이 출판한 <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수상록> 을 집어 들었습니다.

수상록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몽테뉴의 수필집입니다. 당시 수필이라는 말도 없던 시절에 쓰여진 수필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정형화되지 않은 날것이라는 느낌이 드는 문장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 책 속에서 저자는 '우정, 관습, 종교, 싱앙, 나태함, 슬픔, 양심, 두려움, 불굴, 무위, 상상 등' 정말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한번쯤을 생각해 보았을 주제들이기도 합니다.

저는 저자가 다룬 여러 가지 키워드들 중에서 우선 우정에 대하여 이야기한 부분이 기억에 제일 남습니다. 그는 이 부분에서 자신에게 있어 진정한 벗이었다고 생각하는 에티엔 드 라 보에시의 <자발적 복종>을 이야기합니다. 정말 누군가와의 정신적인 교류 및 사상적인 공감으로 인해서 우정을 느낄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하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라 보에시와의 우정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우리 관계를 이어준 설명할 수 없는 운명의 힘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정말 이러한 우정을 맺을 수 있다면 삶은 얼마나 행복할까?

지금과 같이 SNS 으로 빨리 연결되는 세상에서 우리는 진정한 우정을 논할 수 있을까? 운명의 힘은 어떻게 작용하여 우정을 맺을 사람들을 만나게 해 주는가?

여러가지 질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집니다.

그리고, 이 책의 후반부에 있는 '영광에 대하여' 부분은 지금 제가 고민하는 것들에 대해서 하나의 힌트를 제시하는 듯 합니다. 몽테뉴 자신이 이 책을 쓰면서 고뇌했을 영광이 떠 오르기도 합니다. 몽테뉴라는 이름, 그리고 '이켐(Eyquem)' 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집안의 이름을 생각해 보면, 그 자신은 이러한 가문의 이름 뒤에 있는 영광 속에서 사는 것을 힘들어하진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됩니다.

수상록은 정말 너무나도 유명한 책 중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여러 출판사의 책들을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그 중에서 미래와사람 출판사가 최근에 출간한 이 책도 읽어보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고전은 한 번 읽어서 책의 묘미를 모두 깨닫거나, 이해하려고 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가끔 잠이 오지 않는 밤에 책 속의 한 꼭지를 잡고, 사색의 세상으로 여행하면 더 없이 좋은 밤이 되지 않을까요?

오래간만에 고전을 읽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무척이나 좋았습니다. 다만, 아직도 수상록 속의 여러 인용문들은 따라가지 쉽지 않습니다. 다음 출간에서는 이러한 인용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과 더불어, 몽테뉴가 왜 이 부분에서 이러한 인용문을 가져왔을까 하는 논의 부분이 있으면 더욱더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