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징비록 - 전시 재상 유성룡과 임진왜란 7년의 기록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5년 2월
평점 :

유성룡 관련
책과 징비록이 책으로 출간된 책을 최근에서야 정말 많이 읽은 것 같다. 한 10권 정도. 신랑이 '명량'이라는 영화를 보고 온 이후 이순신 관련
영화와 드라마, TV프로그램을 모두 찾아내 매일 저녁 보면서 나도 많은 관심이 생겼기도 하거니와, 최근에 출판업계에서 유성룡 관련 책들이 막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웬만한 출판사는 대개 한권 정도 나온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읽은 책들 중 이 책에서는 유난히 선조에 대한 비난의
글들이 많았다. 아니, 비난이라기 보다 선조를 무지막지한 인간으로 표현해 놓았다. 그가, 한나라의 왕이었던 그가 정말로 그런 말들을 내뱉었던
것일까? 충격적이었다.
내가
충격받았던 선조의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
평양에서 이어
의주까지 피난을 간 선조는 급기야는 대신들에게 이런 말을 한다. 중국에 조선을 갖다 주자고. 정말 그런 막말까지 했던 것일까? 부끄러웠다. 그
나라의 백성들은 왕과 대신들이 도망을 간 그 시간에 죽을 힘을 다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바치면서 싸웠다. 일본조차도, 왕도 버린 조선을
어떻게 노비들과, 아낙네들, 어린아이들까지, 심지어는 몸을 파는 여인네들까지 끝까지 대항하는 것이냐며, 이해를 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중국에
조선을 갖다 주자고 말하는 선조는 대체 무엇이란 말일까? 하지만, 그가 이런말을 정말로 한 것인지, 아니면 소설의 픽션인지는
모르겠다.
아무튼, 책은
류성룡과 이효원이 자신들이 쓴 책 '징비록'과 '호종일기'를 펴놓고 그간 임진왜란의 진행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며 이야기를 나누면서 소설은
이어진다. 흡사, 저 멀리 하늘에서 저선, 일본, 명의 상황을 위에서 지켜보듯이 이야기해 나가듯 그려놓고 있다. 왜란을 앞둔 조선의 책임자들의
이름을 죽- 나열해 놓았는데, 그 활자들에서 그들의 책임을
묻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전쟁이
터지고, 봉수대의 햇불이 5개가 올라왔는데도 불구하고(전쟁을 알리는 불 5개) 이항복이 허겁지겁 선조에게 달려가 아뢰지만 선조는 불꽃놀이를
구경하자고 한다. 5개의 불꽃이 아주 장관이라며, 하하하, 기가 차서 웃음이 나온다. 수많은 백성들이 죽음으로 치닫고 있음에도 당색을 가리는데
바쁘고, 누구에게 전쟁의 뒷죄를 뒤집어 씌울 것인지 논하는 그들이 정말이지 부끄러웠다. 작가는 말한다. 역사는 반드시 기록된다고. 그러니 역사를
두려워해야 한다고 말이다. 그 말인즉슨, 현대의 그대들도 똑바로 하라는 말이다.
나 환갑
노인네니, 이제는 국왕과 신하로서 말하는 게 아니라 어른이 젊은이한테 하는 소리로 말 좀 해 봅시다. 이 자식, 하성군 이균아! 시골 촌부에게
나라를 맡겼어도 이처럼 엉망으로 만들진 않았을 것이야. 젊은 것이 계집만 밝히다가 이 지경이 된 것 아닌가! 차라리 이 자리에서 너도 죽고 나도
죽자! 네 아들 광해군이 나라를 구하든 말아먹든 다 맡기고 같이 죽어 버리자고! 나도 그 따위 멍청한 생각이나 하는 놈을 왕으로 모시고 싶지
않아! (p.113)
역사에 영광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유성룡은 7년간 전시 재상으로 활약했지만 녹봉을 받아 본 적이 없다. 호종한 우리 선대조 두 분도 마찬가지다. 끊어진 녹봉은
1601년 1월분부터 지급되었다. 전쟁이 끝나자마자 삭탈 관직된 유성룡은 녹봉을 끝내 받지 못했다. 큰아들이 먼저 죽는 불행마저 겪었다. 그가
예순여섯 살의 나이로 타계할 때 장례를 치를 돈이 없어 인근 선비들이 추렴해 쓸 정도였다. (p.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