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학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송태욱 옮김 / 이룸북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독학을 결심한 적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올해는
외국어를 혼자서 공부해 봐야겠어, 라든가. 소크라테스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아볼 거야. 또는 세계사를 올해엔 꼭 통달할 거야. 등등 말이다.
나는 일본어를 독학해 봐야지.라고 생각한 지가 언제인지.. 아직도 어물쩍 거리다가 여적까지 왔다. 독학을 한 번이라도 결심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런데 막상 독학을 시작하다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의욕도 줄어들고 하여, 포기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아니면, 혼자서는 도저히
안되겠노라고 학원 수강을 끊으시는 분들도 있을것이다. 이 책은 그런 분들이 읽으면 딱인 책이다. 그리고 나의 일본어 배우기에도 열정을 다시금
불러일으킨 책이 되기도 했다.
일본 저자 시라토리 하루히코 작가의 자신만의 독학하는 방법을
소개해 놓은 책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불안하고 미덥지 못해서, 돈이라도 주고 배워야 하는 거 아냐?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받아야 돼.라고 생각하는 이에게 이 책은 독학에 대한 용기와 지침을 주고 아울러 독학의 요령을 친절하게 알려주는 책이다. 물론 이 저자의 모든
것을 받아들이라는 말은 아니다. 자신에게 맞게 적절히 받아들이고 실천하면 될 일이다. 책의 저자 또한 모든 것을 다 이 책대로 읽지 않아도
된다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처음 독학을 시작할 때 누구나 어려운 것보다 제일 기초가 되는
쉬운 책부터 시작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은가? 그런데 어려운 책부터 시작해보라고 저자는 말한다. 어려운 책으로 시작하다가 금세 멈추어
버리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하는 나의 걱정에 저자는 일침 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고, 어려운 책을 구입해, 자신의 곁에 가까이 두고, 아주
편한 자세로 들춰보라고 말한다. 첫 장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다. 관심이 가는 부분부터 시작해 공부해보라고 써놓았는데, 닥치는 대로 펼쳐보고
호기심이 생기는 부분부터 시작해보라고 말한다.
독학하는 것에서 얻는 즐거움이 얼마나 큰지 저자는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부가 주는 진정한 즐거움! 나도 제발 그 즐거움을 알고 싶다. 세계 각지를 여행했다고 해서 세계를 안다고 착각하는
것보다는 세계의 책을 펼치면 그 안에 여행을 넘어선 체험, 시공간을 넘어선 체험을 할 수 있다고도 말한다. 책을 읽는 것보다 직접 한번 가보는
것이 낳다는, 일반적인 생각을 깬 그의 말이었다. 올해는 한 번쯤 누구나 결심했던 공부를 스스로 독학해보는 거은 어떠한가? 독학에서 오는
즐거움을 맛보시길 바란다. 나도 일본어 공부를 다시 시작해 보아야겠다.
'독학'이라는 말은 너무 고독한 느낌을 준다. 혼자 묵묵히
책상을 마주하고 있는 음침한 인상을 갖게 한다. 하지만 독학의 獨이란 고독하다는 뜻이 아니라 특정한 스승을 두지 않는다는 말이다. 특정한 스승은
두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것들을 스승으로 삼는다. 게다가 근방에 있는 시원찮은 교사를 스승으로 삼는 게 아니라 진짜 최고 수준의 스승을 두는
게 독학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최고 수준의 책을 스승으로 삼는 것이다. (p.15)
책을 많이 읽고 박학해지는 것만이 독학은 아니다. 그저 책을
읽을 뿐이라면 독서가에 지나지 않는다. 인터넷의 수많은 블로그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런 사람은 이미 많다. 책을 읽기만 하는 게 아니라
책을 읽고 생각하기에 독학인 것이다. (p.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