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바람 - 난 잘 지내고 있어 ㅣ 탐 청소년 문학 14
강미 지음 / 탐 / 2015년 1월
평점 :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상처받는 아이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제 우리 사회는 더 이상 학교로 아이들을 옳아 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이 책을 통해서 생각해 본다. 물론 학교라는 곳이 배움의 장이고, 사회생활 이전에 만나는 소통의 장이긴 하지만, 요즘의 우리 시대의 아이들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너무도 많은 고통과 상처들을 감내해야만 하는 건 아닌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까지. 학창시절을 오롯이 지나온 지금에서야 생각해 보면, 그때의 그 시절은 추억이 많이 깃든 시간이었다. 하지만 수능에 집중해야 했던 고3 시절은 조금 힘겨웠던 것 같기도 하다. 그런데 그런 시간들 속에서도 나보다 더 많이 힘든 아이들도 있었고, 누군가는 타인에 의해 많은 상처를 받았던 아이들도 있었던 것 같다. 그런 아이들은 지금 어떤 시간들을 보내고 있을까? 이 책은 그런 상처받은 아이들의 치유하는 작은 희망의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학교에서의 상처하면 역시 왕따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옛날이건, 요즘이건 꼭 벌어지는 일이기도 하고 말이다. 이건 사회생활에서도 없어지지 않는 일이기도 하지만. 학교 옥상에서 자살한 친구를 목격한 선영은 학교를 더 이상 가지 못하고 나오게 되고, 방황하게 된다. 그녀의 엄마는 고등학교 교사로 엄마가 하는 여행학교에 다니고 있는 중이다. 대안학교에서 만난 학생들과 또 다른 우정을 쌓고 상처를 치유해가는 아이들의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대견하기도 하다.
아버지의 부재로, 엄마의 모든 말은 다 들어온 정은, 똑 부러지는 성격을 보이지만 곧은 그녀의 마음에도 상처뿐이다. 찬은 앞으로의 진로 문제로 부모님과 시시각각 대립을 하게 되고 대안학교로 들어오게 되었는데, 각자의 사연을 가지고 여행학교에서 그들은 만난다. 하지만 그곳도 학교의 작은 모습은 마찬가지. 아이들은 싸우고, 정들고, 다시 화해해나가면서 조금씩 상처를 회복하고 있다. 서로의 상처를 들여다볼 수 있는 눈이 생겼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부모라는 바람으로 자식이 소리를 낼 수 있듯이, 서로에게도 바람이 되어 주자고 속삭이는 정은의 말에 아이들은 마음속의 무언가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렇게 아이들은 상처를 회복해 나가고 다시 사회로 나오게 되겠지. 요즘 많은 복잡한 문제들이 상연해 있는 학교라는 공간. 다시 무언가를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이었다. 아이들의 상처가 곪지 않고 잘 아물기를..
음, 너희 풍경 알아? 절이나 누각 처마에 달아 두는 거. 풍경은 바람이 불어야 좋은 소리를 내. 어, 그러니까 부모라는 바람으로 우리가 소리를 낼 수 있듯이 이제는, 어, 우리도 누군가의 바람, 그래, 바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p.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