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기장 이야기
송영애 지음 / 채륜서 / 2014년 12월
평점 :

시집갈 때 챙겨가는 크고 작은 살림도구가 혼수품이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혼수품으로 챙겨가지 않는 것이 있다. 칼과 도마다. 그건 시어머니가 직접 챙겨주었다.
칼과 도마가 며느리에게 준 첫 번째 선물이었던 것이다. 거기에는 두 가지 뜻이 담겨 있다.
하나는, 이제 내 집 사람이 되었으니 칼로 자르듯 친정과의 인연을 끊으라는 뜻이다.
다른 하나는, 칼처럼 매운 시집살이를 도마처럼 묵묵하게 견디라는 뜻이다. (p.144)
시집살이가 얼마나 혹독했는지를 잘 알려주는 구절이다. "식기장 이야기" 지금은 그 사용이 사라지거나 적어진 오래전에 널리 사용되어 온 전통 식도구와 식생활들이 담긴 책으로 나에게 어릴 적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책이었다. 사실, 책의 제목만 보고, 오직 '식기장'에 대한 이야기만 담긴 줄 알았다. 주방에 식기를 비롯한 갖가지 식도구를 보관하는 장. 말이다. 그런데 웬걸, 보물을 발견한 듯, 오래된 나의 추억들마저 하나하나 꺼내게 만드는 책이 아닌가?
이 책에는 총 30여 가지의 식도구가 소개되고 있다. 아마도 현재 20살 이하의 아이들은 거의 잘 모를 도구들일지도 모르겠는데, 나에게는 거의 다 익숙한 것들이다, 책을 읽기 전 목차를 죽- 둘러보았는데, 총 30여 가지 중 내가 모르는 것들은 5가지였다. 그 5가지를 사진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물론 나머지 것들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겠으나, 책을 보실 분들을 위해 남겨두기로 한다.

<떡살>이라고 한다. 떡에 새기는 꽃 장식을 이름이다. 떡에 살을 붙인다는 이름의 '떡살' 문양은 떡에 단순하게 장식을 한다는 것도 있지만, 거기에는 떡살의 문양마다 의미를 담아 찍는 기원의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떡살을 사용하는 떡은 소를 넣지 않는 떡 들이다. 이 떡살을 보니, 하얀 절편이 생각났다. 할머니가 떡집에서 한 박스씩 가져오시면, 옆에서 막 집어먹었던 그때 그 시절의 추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