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작 걸지 마
수작가 글.사진, 임선영 그림 / 별글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에 친구들과 노트에 누가 더 이쁘게 정리하는지 경쟁 아닌 경쟁을 하던 때가 있었다. 그때는 손글씨가 꽤나 유행이었고, 편지를 쓴다는 것에 대해서 추억을 회상한다거나 그런 일이 아니고 당연히 평범한 일이었던 시절이었다. 나의 노트는 조금 인기가 있어서 친구들이 수업을 마치면 항상 자주 빌려가곤 했었다. 물론 여기서 공부를 잘해서 필기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는 중간인데, 왜, 필기를 잘하는 아이들이 있지 않았는가? 나도 그 중의 한 아이였다. 그때 닮고 싶은 글씨체가 이 책의 작가의 글씨체였다. 반듯하면서도 귀여움이 느껴지는 글씨체 말이다.


오랜만에 한 권의 책에서 빽빽히 들어찬 활자보다, 이미지가 많고 글씨가 적은 책을 만나게 되었다. 저자인 수작가가 직접 찍고 적었다는 적은 글들이 나의 마음을 편안하게 위로해 준다. 아, 여기서 사진은 카메라로 찍은 것이 아닌, 폰카로 찍은 사진들이라고 하니 뭔가 좀 더 정감이 가는 것 같다.

 

책을 낼 목적으로 찍은 사진과 글이 아닌, 저자 개인적으로 하루 하루 찍은 사진들과 글들의 모음을 나중에 내게 된 책이다. 그래서인지 작가의 느낌이 오롯이 담겨져 있다. 저자가 책의 초입에 말했듯이, 누군가는 이런 짧은 글을 누가 읽는다고? 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은 여유를 모르는 사람들이나 그런 소리를 하지 않을까? 수작가의 사진과 여백이 느껴지는 글들이 마음을 움직인다.
 
누군가는 그냥 지나칠 작은 것들에도 마음을 부여하는 글들이 곳곳에 담겨져 있다. 이것은 특별한 사람만의 이야기가 아닌, 수작가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였다. 자신의 위치에서 누구나 부여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우리들만의 이야기. 그래서 더 다가왔는지도 모른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마음을 움직이는 작은 기적을 선물하기 위해 그림을 찍고, 그 위에 자신의 글귀를 남기는 일을 했다는 작가. 생각해 보니 사랑에 관한 글이 많았던 것 같다. 사랑을 하는 사람들이 읽고 본다면, 그 마음이 젖어들 것이고, 이별을 한 사람들에게는 더 다독여줄 글과 그림들이다. 행복하게, 그리고 따뜻하게 잘 받았습니다. 때로는 평범한 글들이 시처럼 다가올 순간에 다시 펼쳐보겠습니다.
 
 
강한 부정은 강한 긍정. 수작 걸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담아 외쳤다. 바로 이 책을 펼쳤을 '모든 당신' 에게 내 글과 사진으로 수작을 걸고 싶다는 것. 누군가는 뭐 이런 사진, 이런 글이 다 있어, 라고 욕하며 나를 뻥 차 버릴 수도 있고. 누군가는 웃음 머금은 표정으로 따뜻하게 고백을 받아줄 수도 있다. 당신이 어떤 반응을 하든, 나는 당신의 선택을 존중한다. 그래도 이왕이면 따뜻하게 받아 주었으면, 내 사진과 글을 행복하게 읽어 주었으면 참 좋겠다.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