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문 1
윤선주 소설, 김영은 각본 / 예담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조와 사도세자의 책을 읽고 난뒤에는 항상 찜찜함이 남았다. 그 역사의 진실은 과연 무엇인것일까? 하고. 영조가 정말로 자신의 권력욕 때문에 아들을 죽인 것인지. 아니면 대신들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도세자를 뒤주에 갖혀 죽게 만들었는지. 그도 아니면 또 다른 사실이 있는 것인지. 정말 궁금했다. 언젠가 나중에라도 사료가 어디서 톡 하고 튀어나와 이 진실이 밝혀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고 생각해 본다. 그때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들 모두를 다시금 되돌아보며 화통하게 웃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천한 무수리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는 것과, 형인 경종의 죽음에 연잉군이 독살했다는 추문을 받으면서 영조는 왕으로 등극했다. 그만큼 그는 그 자리가 부담스러웠으나, 그 자리를 지키려 또한 노력했다. 그리고 이 책의 중심에는 맹의라는 하나의 계약서가 아주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맹의란, 영조가 세제시절, 그러니까 연잉군때 연잉군을 왕위에 올려주는 조건으로 연잉군과 노론이 맺은 일종의 계약서이다. 이 계약서를 둘러싸고,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세자, 그리고 노론, 소론의 쫒고 쫒기는 싸움이 시작된다.


영조는 왕이 되었지만, 맹의에서 벗어날수는 없었다. 그 맹의가 세상에 빛을 본다면, 그가 올바르게 왕이 되지 못했다는 것을 세상사람들이 알 터이고, 반듯한 사도세자는 그것을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 그 맹의를 영조와 노론은 찾고 있었고, 소론도 결국 그 존재를 알고 사건에 끼어들기 시작한다. 그러던 어느날 도화서 화원 흥복이라는 사람이 궁에서 살인이 되고 경종의 묘 우물에서 사체로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흥복이 맹의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날밤 흥복은 사도세자 선에게 그 이야기를 하러 궁으로 입궐했던 날이었다. 흥복을 기다렸던 사도세자는 오지 않는 그를 기다리다, 결국 그의 죽음과 마주하게 된다.


흥복은 사도세자에게 둘도 없는 친구였다. 가장 아끼고 마음을 터놓을수 있었던 이. 그런 선에게 흥복의 죽음은 충격이었고, 그 죽음을 파헤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 죽음이 자신의 아버지 영조와 연관되어 있을 줄 꿈에나 알았으랴? 영조는 노론의 수장 김탁과 결탁해 사도세자의 뒤에서 그 모든일을 지켜본다. 아들에게는 내색조차 하지 않으면서 말이다. 이 책은 작년 12월달에 종영된 SBS드라마 <비밀의 문>을 소설로 출간한 것이었다. 나는 이 드라마를 딱 한 회차 본 기억이 나는데, 상당히 재미있었다. 아들과 아버지, 그리고 노론과 소론의 쫒고 쫒기는 사건은 어떻게 이어질 것인지, 궁금하다.




지금 체제공 앞에 있는 이는 이 나라 조선의 세자가 아니었다. 사랑하고 빋었던 벗을 잃고, 하여 모든 것을 걸어 그의 마지막을 지켜주려 했으나 끝내 배신당한 사내일 뿐. 선은 그대로 문을 박차고 나갔다. 선은 말에 올라 궐을 빠져나갔다. 전각들을 스쳐갈 때마다 어린 시절부터 함께였던 흥복과 자신의 모습이 스쳤다. 세책을 하러 갔던 광통교 일각이며 부용재 근처며 함께한 추억들을 스칠 때마다 칼끝에 베이듯 아려왔다. (p.125)


사람 목숨을 휴지 쪽만큼도 귀히 여기지 않는 자들이 빈청에 줄줄이 버티고 앉아 정치를 하고 있다는 거라고! 백성을 하늘로 알고 섬겨야 한다, 이런 공허한 문구 늘어놓겠다는 게 아냐. 적어도 백서으이 목숨이 자신의 목숨만큼은 귀해야 되는 거 아닌가. 그래야 정치할 자격이라도 주어지는 거 아니냐고. (p.1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