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후거나 또라이거나 - 무슨 짓을 해도 괜찮아, 청춘이니까!
대학내일20대연구소 엮음 / 홍익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요즘 들어 대학교에 들어간다는 것은 캠퍼스 생활을 누린다는 것보다 곧 다가올 취업을 준비하는 시간이라고 봐야 될 것 같다. 대학생들은 자격증 따는데 몰두하며, 토익, 토플 준비에 열심이다. 누가 먼저 취업을 나가느냐, 어느 대기업에 떡하니 붙을 것이냐,라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그런 대다수의 대학생들 중에서도 여기 이 책에 실린 32명의 청춘들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스펙보다 스토리를 택한 20대들이다. 자신이 좋아하고 그 분야에 미쳐있는 덕후들이다. 여기서 덕후의 뜻이란 '한 가지에 미쳐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사실 나 또한 대학생활을 즐기기도 했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자격증 따기에 몰두했고, 같은 과 내에서 가장 먼저 취업을 나갔다. 하지만 나의 전공을 따라 간 일임에도 이것이 나에게 맞는 일인가?라는 회의가 들었고, 결국에는 다른 길로 전향하고 나의 직업을 바꾸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대학교에 입학원서를 넣을 때, 과를 정하는 것에 신중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내가 원하는 전공인지. 점수에 따라서가 아닌, 고등학생 때부터 내내 고민해야 할 일이었다. 점수가 아니라, 어떤 것을 배워야 한다는 목표를 말이다. 그래야 대학교에서 그 일을 마음껏 배울 수 있고 전념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이제야 든다.


여기 이 책에 나오는 32명의 청춘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확고한 것들이 있어서 신념을 가지고 그 길로 뛰어든 친구들이 있는가 하면, 수많은 고뇌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은 청년들도 있다. 결국 청년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은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청년들은 힘들지만 행복하고, 또 성공한다. 120번의 자소서를 쓰며 자신의 길을 찾아 나섰고, 젊은 사람이 텃밭농사를 왜 짓냐는 반문에도 당당히 농사를 지었던 청년들의 모습, 양봉으로 성공하기 힘들어~ 공부나 해.라고 잔소리했던 사람들에 맞서 양봉을 시작한 청년. 그들의 모습들 하나하나가 눈에 선하게 다가온다. 아, 그리고 최근에 읽었던 아리랑 청년도 이 책에 한 명의 덕후로 실려 있어서 참으로 반가웠다.


별종이라 불리는 청년도, 희망이 없었던 청년도, 돈이 없어 오직 아르바이트만 했던 청년도 그들 모두는 아직도 꿈을 향해 나아가는 중이고, 누군가로부터 덕후라고 불려도, 또라이라고 불리어도 청춘이기 때문에 괜찮다. 아직 어린 청년들이지만 그들의 경험에서 나오는 좋은 조언의 글들이 책 속에 너무나도 많았다. 다 담고 싶었지만, 타자로 치기에 한계가 있어 4가지만 옮겨 보았다. 대학 입학을 준비 중인 아이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참 많은 도움을 받겠다 싶어서 추천해드리고 싶다. 




즐겁지 않은 꿈은 집착일 뿐이고, 즐겁지 않은 사랑은 붙잡음일 뿐이며, 즐겁지 않은 삶은 그저 흘러가는 시간일 따름이다. 타의에 의한 시련은 어쩔 수 없다 치자. 이를테면 실연이나 군대 같은 것. 그러니 최소한 스스로의 선택에 대해서는 즐겼으면 한다. 고시 공부를 하든, 취업 준비를 하든 말이다. 이왕 사는 거 즐겁게 살아야 하지 않을까? (p.26)


실패했지만, 나는 버텼고, 단단하게 살아가고 있다. 어쩌면 내일이 찾아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세상이 변하는 순간이 그리 덜컥 찾아오지도 않을 것이다. 그저 내 방식대로 실패를 반복하는 일. 그게 내가 바다를 찾는 방법이다. 그리고 언제부터인지, 사람들은 나를 찾기 시작했다. (p.67)


한쪽 발만 담근 채 수영을 배울 수는 없다. 또한 천재지변이 있을지언정 우리가 극복하지 못할 상황은 없다. 처음이 두려워서 도전하지 못한다면 이 세상에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중요한 것은 온몸을 파도 위에 내맡겨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면 곧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차게 전진해 나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언제 어디서 파도타기를 끝낼지는 모르지만, 난 그때까지 항상 마이크를 붙잡고 있을 것이다. (p.75)


어떤 일이라도 처음이 가장 힘든 것처럼 한 번 어려움을 이겨내고 나면 더 큰 역경이 오지 않는 이상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큰 어려움이 찾아오더라도 이겨낼 힘이 기억에서 나온다. 이렇게 점점 커다란 어려움을 이겨내는 힘이 쌓이는 것이 연륜이 아닐까 생각한다. (p.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