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 한국 200만 부 돌파, 37개국에서 출간된 세계적 베스트셀러
마이클 샌델 지음, 김명철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책 중 <누구를 구할 것인가?>라는 책에 이런 문제가 나왔었다.

전차가 운행중이었으나, 멈춰야 할 구간에서 전차는 어떤 이유로 고장이 났고, 멈출수가 없게 되었다. 그대로 계속 앞으로 나아간다면, 앞 레일에서 공사중인 5명의 일꾼이 죽을 것이고, 누군가 나서서 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를 돌려 전차의 진행을 옆 레일로 옮긴다면 그 레일에 있는 단 한명의 사람만 목숨을 잃게 될 것이다. 당신은 누구를 구할 것인가? 라는 문제였다.


나는 끝내 그 책의 물음에 답을 해내지 못하였다. 다섯명의 목숨을 희생할 것인가.

아니면 다섯명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한명의 희생에서 그쳐야 했는지.. 깊이 생각할수록 어려웠다.

그 책의 물음은 마이클 샌덜 작가의 이 책 '정의는 무엇인가?' 라는 물음과 직면한다.

이 책에도 똑같은 전차문제가 등장한다.

제러미 벤담이 주장했던 '쾌락의 총량이 고통의 총량보다 많게 하라.' 라는 공리주의에 따르면 한명의 희생이 정당하다 할 것이나, 그것은 한명인 개인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게 된다.

과연 정의란 무엇인가? 당신은 그 대답을 한치의 망설임없이 대답할 수 있겠는가?

 

 

 

책은 상당히 두툼했다. 다른 나라에서보다 우리나라에서 이 책이 유명세를 탔다고 하는데, 나는 이제서야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그 정의를 이해하는 방식을 따라야 한다. 공리주의에서부터 시작해, 칸트의 도덕철학, 이어서 롤스의 정의론.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까지. 역사적인 순서가 아닌 저자의 주관이 담긴 시선으로 진행해 나간다. 그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제일 많이 언급하였으며 마지막에 배치했던 것은 그가 그 이론에 힘을 싣고 있다는 말이 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은 이것이다.

사람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주는 것.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정치의 목적이라고 말이다. 소크라테스였던가? 얼마 전에 읽은 책의 문구가 생각났다. 왜 정치인들을 선거로만 뽑는지 이해할수가 없다고. 각자 일하는 분야에서는 교육을 받은 최고의 전문가를 뽑으면서 왜 정치인들은 교육을 받지 않고 다만 선거로만 추대하는 것이냐고. 그 글을 읽고 나는 꽤나 충격을 받았던 게 생각이 난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에서 정의가 무엇이냐고 시시비비를 가리기 전에 그 올바른 정의를 가지기 위해서 우리가 나서야 할 텐데 말이다. 우리는 그냥 묵인하고만 있다. 정치인들이 다 정의해 주기를 말이다. 평등과 불평등, 그리고 정의와 부당함. 옳고 그름에 대해 고민해 볼수 있었던 나에겐 많은 것을 가져다 준 책이었다. 철학이 가득한 책이라고 해서 어렵다고 생각하시진 마시길. 전혀 지루하지 않았고, 어렵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들에게 그들아 마땅히 받을 자격이 있는 것을 주는 것이 정의라고 가르친다. 따라서 누가 무엇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판단하려면, 어떤 미덕에 명예와 포상을 주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선 어떤 삶의 방식이 바람직한 것인지 심사숙고하지 않고서는 무엇이 정의로운 법인지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이란 좋은 삶을 묻는 질문에 중립적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p.27)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정의란 자격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몫을 주는 걸 의미한다. 그렇다면 마땅히 받아야 할 몫은 무엇인가? 능력이나 자격의 근거는 무엇인가? 이는 분배되는 대상에 달렸다. 정의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분배 대상과 그것을 분배받을 사람"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우리는 "평등한 사람들에게는 대상들을 평등하게 배분해야 한다."고 말한다. (p.2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