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잣거리에서 만난 단원 - 김홍도의 제자가 되어 그림 여행을 떠나다
한해영 지음 / 시공아트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단원 김홍도 화가의 그림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어서 행복한 시간이었다. 내가 알고 있었던 그림들보다 그동안 보지 못했던 그분의 그림들이 훨씬 더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하나하나 찬찬히 본다고 신경써서 읽은 책이다. 책속의 주인공처럼 나도 김홍도의 제자가 되어 그림 여행을 떠나본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내가 되는 기분으로 대리만족을 느끼며 이 책을 읽어 내려갔다.


한 여자가 미술관에서 단원 김홍도의 그림에 대한 설명을 듣던 중 그림속 인물들의 대화가 들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갑자기 김홍도의 그림속으로, 조선의 저잣거리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리고 그녀는 단원을 만나게 되고, 그를 따라다니며 단원의 그림들이 어떻게 태어나게 되었는지. 그에게 어떤 사연이 있었는지를 경험하게 된다. 그것은 꿈같은 일이었다.


단원의 옆에서 그의 봇짐을 짊어지고 다니며, 그림에 대한 설명과 배움들을 배워나가는데, 단원에게 그림을 그리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 웃음이 없는 조선에 그림을 그려 사람들에게 잃어버린 웃음을 찾아 주려고 한 것이라고. 임금은 그에게 백성들의 삶을 그려오라 하고, 금강산을 그려 오라고 하였다. 그의 그림들은 백성들의 생활을 너무도 잘 이해하고 있다는 듯이 느껴졌다. 정말 서민적이다. 라는 말이 터져나올만큼 한국적인 정취가 오롯이 느껴진다. 몰랐던 사실인데 그의 풍속화 중 <씨름>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었다.


모든 그림을 다 잘 그렸다는 그가 이 시대에 다시 되살아났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내내 행복했던 것 같다. 평소 그의 특정 그림들을 좋아했던 이유이기도 했거니와 하나의 작품이 탄생되기 까지의 과정이 재미있었고, 그 화가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되니까. 조금 의아했던 부분은 단원이 스스로 선인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였다. 실제로 그는 정말로 그렇게 생각했던 것일까? 싶은 의문이 생겼다. 언제 기회가 된다면, 그의 그림을 박물관에 가서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다. 그 그림 앞에서 그의 삶을 느껴보았으면 싶다고.. 그가 남긴 많은 그림들때문에 우리는 소중한 것들을 얻을 수 있었고, 받았노라고. 말해주고 싶다.

 


그제야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감이 왔다. 진정한 예술은 내가 즐거우면 그만인 것이란 말이지. 참으로 맞는 말이다. 그러고 보면 남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살아온 것 같다. 인정받기 위해 애쓰고, 평가받지 못해 포기하고. 창조하는 일 자체가 좋아서 예술을 하는 것인지, 남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예술을 하는 것인지 헷갈릴 정도로 말이다. 그런데 단원은 내가 가지고 있던 예술에 대한 가치관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p.53)


그런 의미를 담고 있었구나. 몰랐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림이 새롭게 보였다. 정조 임금은 세상 사람들이 무슨 마음과 재주를 가지고 있든지 자신이 빛을 비출 때 드러날 수 있다 하였다. 단원의 경우가 그러했다. 가진 것이라곤 그리는 재주밖에 없었던 단원에게 정조는 어둠 속 환한 빛이 되어 주었고, 단원은 덕분에 당대 최고의 화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림 속의 잡목이 보름달의 후광이 있었기에 돋보일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