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장군 34선 - 조조, 동탁, 여포, 손견, 관우, 장비, 천하무적의 명장들 ㅣ 마니아를 위한 삼국지 시리즈
와타나베 요시히로 지음, 조영렬 옮김 / 서책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삼국지 군사34선에 이어 이번에는 삼국지 장군34선을 읽어 보았다. 앞선 책 군사34선의 책과 함께 이어서 읽으니 군사와 장군을 연관지어 읽기에 매끄럽고 장군과 명사의 관계를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개인적으로 아직 중국의 역사에 대해서는 관심이 조금 적을 뿐더러(삼국지를 읽을때 집중이 잘 되질 않았다) 역사의 흐름을 보는 눈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사실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 알지 못하는 것이 많은데, 남의 나라 역사에 대해 깨알같이 알아야 돼? 라는 생각도 어느 정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남의 나라. 라는 먼 단어보다, 우리의 이웃나라에 대해 이정도는 알아야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더불어 우리 나라의 역사도 좀 더 들여다 본다면 더 좋고 말이다.
이 한권의 책에 34명이나 되는 인물이 등장한다니. 많은 인물이 등장하다 보니 개개인의 깊이 있는 설명은 조금 아쉬웠긴 했으나, 삼국지에 등장하는 34명의 대표적인 장군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니까. 그 반면에서는 좋은 책이 아닐까 한다. 각자 개인의 삶보다, 그들이 살아왔던 인생이 역사속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이해해가면서 읽으면 좋을 듯 싶다. 장군이라 하면, 역시 전쟁을 빼놓을 수 없다. 삼국지에서 전쟁하면 가장 떠오르는 인물이 조조 아니겠는가?
그는 단연 이 책에서도 독보적이다. 그런 조조역시 이상형으로 삼았던 인물이 있었는데, 그 뿐만 아니라 모든 군웅과 무장들이 이상형으로 여겼던 사람. 교현. 그의 삶의 더 깊은 구석까지 궁금해졌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그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 싶었다. 34명의 장군들. 그들은 전투의 세계에서 필사적이기도 했으며, 역시 다른 사람들과 뭔가 다른 기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전쟁은 백번 싸워 백번 이기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야말로 최선의 방법이라고 손자편에 써져있긴 하였지만 장군들의 기백은 그와는 조금 달라보였다.
그동안 나의 책들 속에서 잊혀졌던 삼국지 전권을 조용히 꺼낼때가 된것 같다. 명사 34명과 장군 34명들을 그 책속에서 낱낱히 기억하고 꺼내줘야 겠다. 이 책 두권의 각성을 일으켜주었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역사에 대해서도 인물에 대해서도 나는 좀 더 알아야 겠다는 반성을 하게 된다. 까무룩하게 읽었다가 잊어버리는 것 말고, 기억속에 각인하도록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조조를 통해 삼국시대가 역사의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던 것이다. 정치적으로는 4백여 년을 이어온 통일 국가 한나라가 붕괴되고 370년에 이르는 위진남북조의 분열 속에서, 명사를 모체로 한 귀족이 지배 계급이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호족의 대토지 소유가 진전되는 한편, 수당 율령 체제로 결실을 본 둔전제 등의 토지, 세금 제도가 국가에 의해 정비되었다. 문화적으로는 한나라의 '유교일존'풍조가 붕괴되고 불교, 도교가 융성했으며, 문학, 서화 등이 새로운 문화적 가치로서 정착되어갔다. (p.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