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인구 절벽이 온다
해리 덴트 지음, 권성희 옮김 / 청림출판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이 의미하는 바가, 단순히 인구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는데에 따른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 것인가? 궁금증을 가지고 읽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로 손꼽히는 우리 나라. 하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1명 정도이면, 괜찮은 것이 아닌가? 이 좁은 땅덩어리에 현재도 적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데, 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말이다. 굳이 인구가 많아야 잘사는 나라일까? 라는 생각도 해보지만, 역시 경제 성장을 이루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력' 즉, 사람이어야 되겠다는 생각으로 결론지어 진다.


이 책의 저자인 해리 덴트 작가는 <포천>지에서 100대 컨설턴트로 선정된 저자는 1980년대 일본의 버블붕괴와 1990년대 미국 경제 호황을 정확히 예측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미국경제 호황을 정확히 예측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는 분으로,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것들을 종합해 각국의 경제를 미리 예측한다는 글을 제시하고 있다.

책의 서문에는 22년후 한국이 일본된다. 라고 적혀 있다. 한국은 2018년 이후 인구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마지막 선진국이 될 것이다. 라고 말이다. 여기서 마지막 이라는 점은 우리나라에 좋은 점일 수도 있겠으나, 거기에 아무런 대처가 없다는 점이 충격적이다. 저자는 한국 정부에 일침을 가하고 있었다. 우리정부는 앞으로 닥칠 위기를 조치하고 있는가?​ 답은 NO! 였다. 2014~2019년 사이에 닥칠 디플레이션에 대비해야 하고, 그것은 비단 정부만의 일이 아니라 개인, 투자자, 기업이 모두다 대비해야 할 것이다. 버블이 터질때까지 앉아서 기다리고만 있어서는 안된다.

또한 중국의 경제 타격은 분명히 올것이라고 예고한다. 중국의 경제에 이상이 생긴다면, 한국 역시 그에 따른 직격탄을 맞는건 불보듯 뻔한 일일 것이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하는 비중은 엄청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드는 사건이 '세월호' 사건이었다. 앞으로 다가올 사건을 기다리지 말자는 것이다. 어쩌면 아직은 미리 대비해야 할 시간이 있을지도 모른다. 터지고 수습하려 하지 말고 미리 준비해야 할 것 이다. 어쩌면 이 책이 너무 극단적으로 몰고 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미리 대비 해 놓는다면, 무에 탈이 될 것인지? 우리나라에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책이었다.


 


 사람들에게 버블을 경고하는 것보다 일생에 더 어려운 일은 없을 것이다. 나는 경험을 통해 그러한 사실을 깨달았다. 나는 2005년 말 미국의 부동산 버블이 정점을 향하고 있다고 경고했지만 내가 발송하는 투자보고서를 정기 구독하는 사람들 외엔 아무도 내 말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 그 정기 구독자들은 오랫동안 투자 보고서를 통해 여러 증거들을 접하며 버블에 대비해왔다. 버블은 저항하기 어려운 유혹이다. 버블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합당한 수준을 벗어나 계속 커진다. 거미가 파리에게 "우리 집으로 놀러와"라고 초대하는 것처럼 말이다. (p.197)


평평해 보이는 세상이 왜 둥글고, 직선형처럼 보이는 성장세가 왜 기하급수적인지 설명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다. 연간 3퍼센트에 불과한 금리라도 복리로 늘어나 시간이 지나면 지수함수형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모든 재무설계사들이 '마법'이라 설명하는 복리의 원칙으로 증명된다. 젊었을 때부터 비록 소액일지라도 정기적으로 저축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도하게 낙관적이거나 내일의 부보다 오늘의 소비를 더 중시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