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 삶의 지혜를 넘어 도전의 철학으로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서양과 동양의 문명에 대한 비교에 있어서 사실 누구나 이 두 문명을 비교할때, 누가 더 도전의식과 모험을 담고 있는 것이 더 강한가? 라고 묻는다면, 백이면 백 서양문명이라고 말할 것이다. 나또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동양의 문명에 도전의식과 모험이 없다. 라고 말한다는 것은 잘못된 시선이 아닐까? 서양이 도전의식이 더 두드러진다고 말할 수 있겠으나 동양의 문명에 모험과 도전에 대한 것들이 없다. 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의도로 집필되었다고 한다. "동양의 문명에는 도전과 모험은 없어!"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시선을 바꾸는 계가기 되길 바라며 집필한 책으로 저자 신정근 선생님의 동양 문맹에 대한 단호함을 느낄수 있는 책이었다.


특히나 이 책이 좋았던 점은 수많은 동양 인물들이 등장해서였기도 했지만, 그와 더불어 내가 들어보지도 못한 수많은 고전들을 접할 수 있어서였다. 요즘들어 고전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었던 터라, 즐거운 마음으로 탐독해 내려갔다. 동양철학 이라고 하면, 누구나 어렵고 고리타분하게 여기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사실, 관심이 없다면 그렇기도 하다. 어려운 문구와 한자어들. 나도 처음엔 어렵게 여겼고, 사실 지금도 어렵게 다가오는 것이 동양철학이고 고전이다. 그런데 한권 한권 조금씩 그 분야에 대해 접근해 나가다 보니, 어느 정도 조금씩 알아가는 맛이 있고 재미가 있게 느껴진다.


2500년 전 공자부터 시작해서 현대 중국의 리쩌허우까지 이 책에는 수많은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들의 도전의식과 꿈, 모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 책에서 특히 제자백가와 도연명에 대한 글이 나의 마음을 움직였다. 파괴, 모험, 도전, 독립, 창조, 선언, 기획과 꿈으로 파트를 나누어 고전을 이야기하고 동양의 문명에 대해 강한 신념과 어조의 글들을 담으셨다. 동양은 감성적이야. 도전의식이 없어~ 라고 단정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렇게 대입할수는 없을 것이다. 일반화 한다는 것의 오류에 대해 집중해보아라. 고전과 인물, 그리고 서양과 동양의 비교 문명에 대해 꼼꼼하게 읽을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



장자는 관계를 갖더라도 관계에서 생기는 것을 모두 잊으라고 한다. 내가 어제 한 사람을 길에서 보고 오늘 또 봤다고 하자. 보통은 "어제 보고 오늘 또 보네요. 서로 인연인가 봅니다."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나온다. 두 번의 마주침이 '인연'으로 묶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장자는 인연으로 묶는 것을 반대한다. 나는 어제 한 사람을 보고 오늘 한 사람을 본 것일 뿐 같은 사람을 두 번 본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로써 사람은 서로에 대해 낯선 관계에서 친구 관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대로 낯선 사람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p.129)


동아시아 사람이라고 해서 뜻하는 것이 모두 이루어져 현실 이외의 세계를 꿈꿀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동아시아 사람이라고 해서 현실 세계의 조야하고 너저분한 폭력과 불안을 넘어 어떠한 차별과 제약이 해체되는 유토피아를 기획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다. 그들은 지족의 상태에 들어선 신선도 아니고 자신의 주장을 펼치지 못하는 노예는 더더욱 아니었다. 그들도 사람이었던 만큼 하고 싶은 말을 하고 꿈꾸고 싶은 것을 꿈꾸며 살아왔다. 동아시아 역시 '어괴력난신'하는 모험과 도전으로 가득찬 환상의 세계를 그려왔다. 그동안 공자의 '불어괴력난신;이라는 사슬에 매여서 실상을 보지 못했던 것이다. (p.3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