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된 평화
존 놀스 지음, 신소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나의 어머니께서 8살이셨던 1959년에 출간된 책으로 고교시절때 한번 읽어보고, 두번째로 다시금 읽어보는 책이다. 출간된 이후 영화와 TV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으며 700만부 넘게 팔린 책이라고 한다. <호밀밭의 파수꾼>과 함께 가장 많이 읽는다는 청소년 필독서로 손꼽혔다고 하니, 새삼 이 책의 명성이 그정도였구나. 감탄을 자아낸다. 두고두고 옆에 두고 몇번이라도 자꾸 읽어도 좋을 그런 책이라니 청소년들에게도 권하고 성인들도 읽어두면 좋을 책이다.

 

사실, 한번 읽고 두번 읽기 시작했을때, 이 책의 전체적인 내용은 떠올랐지만(책의 표지가 한몫했는지도 모르겠다) 세세한 부분까지는 기억에 없었다. 주인공의 이름조차 기억나지 않았으니까. 이런 이유에서 여러권의 책을 읽는것보다 어쩌면 한 권의 책을 몇번이라도 읽어보는 것이 좋다는 말이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보면서, 나도 다섯번 정도는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이 책의 배경이 되는 곳은 미국의 뉴잉글랜드로, 2차대전이 한창인 분위기였다. 명문 사립 기숙학교 데본에서 상급생들은 곧 전쟁에라도 참여하기 위해 훈련 중이었지만 한 학년 아래인 16살 소년들은 조용하기 그지없는 학교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들의 앞날은 불투명했으며, 전쟁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 피니어스라는 당차고 운동잘하는 소년과 그의 단짝진 포레스터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아프도록 시린 여름. 전쟁의 한가운데에서 그들만의 시간을 보냈던 소년들의 이야기가 말이다.

 

운동에 그토록 특출난 재능을 가졌던 피니가 나뭇가지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서졌을때의 그 상심은 얼마나 컸을지, 피니의 사고가 자신 때문이라고 자책했던 단짝 친구 진은 데본에서 피니가 없는 그 공허함을 무엇으로 채웠을지 마음이 아파왔다. 자신 때문이라고 고백했던 아이들의 모습은 어른들의 세계보다 훨씬 진솔하게 다가온다. 그들 중 누구의 잘못도 아니었는데도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이 잘못된 것 같다고 자책하기도 하고, 자신이 모든 것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주인공 진 포레스터는 피니와 함께했던 데번에서의 그 시간이 지나고 15년 후 데번을 다시 찾아가 그때의 일들을 회상하는 것으로 이 책은 시작한다. 추억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상처가 큰 일들을 진은 어떻게 버텨내고 다시 그곳에 왔던 것인지.. 전쟁의 중간에서 16살 소년들의 생활은 관심을 멀리하고 보면 마냥 평온해 보였을 테지만 그들만의 시간안에서는 어쩌면 전쟁이 아니었을까. 우리 각자의 청소년 시절에도 아픈 기억들과 상처들을 누구나 하나씩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그 기억들은 잊혀질수 없는 것들이며, 평생 간직하고 가야 할 것이다.

 

 

 

 우리의 숲, 데번 학교 소유림은 내 공상 속에서 거대한 북미 삼림의 시발점이었다. 나무들은 데번 숲에서 북쪽으로 끊임없는 긴 통로처럼 이어져 그 누구도 본 적 없는 저 먼 끝까지, 어쩌면 캐나다 북 단의 어느 오지까지 닿아 있으리라고 나는 생각했다. 다시 말해 우리의 놀이터는 마지막 남은 거대한 원시림의 문명화된 변두리인 셈이었다. 정말로 그런지 알아볼 기회는 없었지만, 아마도 그럴 것이다. (p.31)

 

지금까지 나는 무슨 일이 있든지 간에 매일매일 그것이 새로운 삶인 것처럼, 모든 과거의 실패와 문제는 지워지고 미래의 가능성과 기쁨만이 눈앞에 열려 있어 다시 밤이 오기 전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처럼 여기며 살아왔다. 그러나 지금 눈 내리는 겨울과 피니어스의 목발을 앞에 둔 나는 앞으로 매일 아침 전날 밤의 문제가 그대로 반복되리라는 걸, 잠은 잠시의 유보일 뿐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다ㅏ는 걸, 여명과 새벽 사이 내가 새롭게 태어나기란 불가능하다는 걸 깨닫고 있었다. (p.1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