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의 도서관 - 여성과 책의 문화사
크리스티아네 인만 지음, 엄미정 옮김 / 예경 / 2011년 12월
절판


이 책은 도착하기 전부터 나를 기다리게 만들었던 책이다. '여성과 책의 문화사' 관련해서 내가 읽기에 즐거워하는 모든 것을 충족시켜 주는 듯했다. 거기에 더불어 책과 관련된 많은 명화들을 만날수 있었으니. 읽는 내내 행복했고, 아껴아껴 읽고 싶은 책이 되었다. 여성들에게 책이 금지되었던 그 시기에 애초부터 책에 대해서 남자들과 동등한 권리가 주어졌다면 어땠을까? 여성은 아마 조금 더 빨리 남자들과 평등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조금 더 지금과는 많은 것들에 평등이라는 권리를 내세우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로부터 시작해 다양한 시대와 숨겨진 문화 속 여성들의 책과 관련된 이야기와 아주 많은 명화들이 선보여지고, 그 명화에 대한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한다. 당연히 명화 속 주인공은 책을 든 여인이다. 오직 집 안에서만. 그리고 여자는 살림만 하고 남편을 내조하며 자녀를 잘 키우는 것만이 여성의 본분이라고 믿었던 시대. 그리고 그러한 편견을 넘어 여성이 그들만의 권리를 되찾고 책을 읽으며, 조금씩 달라져간 여성들과 책의 이야기. 다 읽고 난 뒤에도 나를 흥분하게 만드는 이야기다.

여성들이 책을 읽지 못했던 시절에, 그림에 여성들이 책을 들고 등장하는 그림조차도 상당한 이슈가 되던 시절이었다. 그림 속 여성들의 책 읽기를 통해 그녀의 사회적 위치와 문화를 엿볼 수 있었다. 여성이 책을 손에 들고 읽기까지의 4000년의 역사를 읽어볼 수 있는데.. 그런데 아직까지도 이런 공공의 권리를 가지지 못한 나라가 있다고 하니, 황당하고 화가 나기까지 한다. 책 읽는 기쁨을 누리지 못했던 여성들. 지금 생각하면 안타까운 생각이 들면서도, 현재 언제든지 마음대로 책을 읽을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 이 시대가 갑자기 고맙게 다가온다. 후훗.

다음번엔 오래도록 읽고 싶었던 <책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라는 책을 꼭 한번 읽어보고 싶다. 언젠가 한번 그 책의 표지사진과 제목을 보고 오래도록 기억에 남아 있는데.. 그 책을 읽으면서 이 <판도라의 도서관>의 여성들이 생각 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