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네 케이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1년 11월
품절


표지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이 책의 제목과 표지 사진을 보고 떠올린 책이 <향수>라는 책이었는데, '코'라는 제목이 왠지 '향수'의 책 스토리와 비슷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었다. <향수> 책은 오래 전에 읽었는데도 '코'라는 단어를 읽고 가장 먼저 생각나는 책인거 보니, 그만큼 인상적이었나보다. 아- 그리고 그 책이 생각났던 또 하나의 이유는 이 책 띠지에 '일본 호러 소설사에 남을 충격적인 걸작' 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어서이기도 했으리라. <향수>도 호러 소설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에는 총 세편의 단편들이 들어 있다. 그 세개의 이야기를 들여다 보자.

폭락
현대에 걸맞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주가 폭락이 인간의 모든 것을 결정짓는 생활이 되는 시대의 이야기이다. 개개인의 주가가 높을 수록 그 사람의 생활도 달라진다. 주가가 낮아질것을 우려해 가족과의 인연을 끊게 되고, 사랑하는 사람과 당연히 헤어질수 있는 시대. 한 남자의 비극적인 최후를 담고 있는 단편소설이다. 마지막에 이 주인공 남자가 보여주는 상황은 정말 최악으로 치닫는다.

수난
전날 밤 술을 마시고 일어난 아침. 어느골목길에서 수갑에 채워진채 깨어난 한 남자. 하지만 그는 몇날 몇일을 그곳에서 이상한 사람들 몇몇을 만나게 되고, 수갑에서 풀어나지 못하는 생활을 하게 된다. 그들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그들은 그의 청을 도와주지 않는다. 제목 그대로 수난이 아닐수 없다. 한 남자의 처절한 수난 이야기.


코가 큰 사람들을 텐구라고 하는데, 그들은 사회에서 일반 사람들과는 다른 편견을 가지고, 불평등을 안고 살아가게 된다. 그러니까, 예전의 흑인들처럼. 인간대접을 받지 못하며 살게 되는데, 아내와 아이를 잃은 한 의사 앞에 자신의 아내와 아이를 닮은 텐구 모녀가 나타나고, 이 모녀의 부탁을 거절한 그는 나중에서야 그들을 조금이라도 돕기 위해 시술을 시작하게 되는 이야기. 소설의 시점과 상황이 너무 자주 바껴서 이해가 부족했던 책이었는데, 내용은 상당히 신선했다.

호러!! 좀 많이 호러스러운 단편소설 3편이었다. 첫번째 단편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그의 마지막이 너무도 비극적이어서.. 아주 깊이 집중해서 읽은 책은 아니었지만, 재미있게 읽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