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밤 세계문학의 숲 4
바진 지음, 김하림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끝나버린 원쉬안의 마지막에 가슴이 먹먹해 왔다. 그는 왜 그토록 무기력했는지... 타인에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한마디도 하지 못했고, 란저우로 떠나는 아내 수성을 잡지도 못했다. 오직 그가 마음대로 할수 있었던 것은 차가운 밤에 고통으로 내뱉는 피가 섞여 나오는 기침뿐이었다...

원쉬안은 가난한 지식인이었다. 대학시절에 아내인 수성을 만나 사랑을 했고, 수성 역시 지식인이었다. 함께 살기 시작하기 얼마전까지 이 두사람은 행복했었다. 미래에 대한 꿈이 있었지만, 일본과의 전쟁이 시작된 후 원쉬안은 글을 손보는 직장으로 옮기게 되면서 쥐꼬리만한 월급을 받으며, 수성은 은행원이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가정에 보다 더 침울하게 만들었던 것은 수성과 원쉬안의 어머니의 마찰이었다. 시어머니는 수성을 늘 못마땅해했다. 아들과 손자를 잘 챙기지 않았고 항상 늦게 들어왔으며, 은행의 주임과 가까워하는것을 못마땅해했다.

누구를 탓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무엇이든지 불평이 없는 너무도 무기력했던 원쉬안이었을까? 며느리를 못마땅해한 시어머니? 아니면 남편과 아들을 남겨두고 떠난 수성이었을까? 수성은 원쉬안을 사랑했었다. 그러나 그녀는 떠남과 주저함 사이에서 수없이 갈등했었다. 결국엔 떠나게 되지만. 떠나고 나중에 원쉬안이 죽고 난 후 다시 찾아왔을때에도 그녀는 변하지 않았다. 남아야 할까. 다시 떠나야 할까를 결정하는데 수없는 생각을 하게 된다. 원쉬안은 아내와 어머니 사이에서 정말 무기력한 존재였다. 그러나 너무도 수성을 사랑하는 마음과 어머니에 대한 마음은 참으로 순수한 사람이었다. 조금은 안타까웠지만 말이다.

자신을 버리고 떠나는 아내에게 마음과는 달리 잘 가라고 했던 남자. 자신에게 죽음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나의 병은 호전을 보이고 있다는 편지를 수성에게 보낸다. 전쟁은.. 그렇게 끝났다. 하지만 원쉬안은 그렇게 가버린다. 너무도 고통스럽게 말이다. 수성이 떠나지 않았더라면. 원쉬안이 좀 더 그렇게 무기력하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시어머니가 수성을 그리도 미워하지 않았더라면, 상황이 바뀌었을까? 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전쟁이 끝났다고 사람들의 생활이 좀 더 나아지지는 않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책은 끝났지만, 원쉬안의 앓는 기침소리가 자꾸 들려 오는 것 같았다. 그의 죽음만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전쟁은 끝났는데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