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쪼가리 자작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1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2월
평점 :
남작. 자작 시리즈라고 이름 붙일까 보다. 훗.
이탈로 칼비노 작가와 처음 만난 책 <나무 위의 남작> 보다 훨씬 더 재밌게 읽은 책이다. 이 책은 꼭 어른들을 위한 동화같은 이야기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갓 청년기에 접어든 메다르도 자작은 투르크인과의 종교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그러나 첫 전쟁에 참여하자마자 이 젊은 자작은 포탄에 몸이 반쪽만 남게 된다. 온전한 왼쪽만이 말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물론 있을수 없는 일이다. 반쪽얼굴과 한쪽만 남은 팔과 다리. 반쪽 입. 반쪽 코. 반쪽 장기들. 이렇게 반쪽으로 고향으로 돌아온 자작은 그 고통의 여파도 있겠으나, 온갖 나쁜 일들을 일삼는다.
이 메다르도 자작의 성에 사는 조카 아이의 입을 통해 외삼촌 자작의 생이 이야기 된다. 자작은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유모를 문둥이 촌에 보내버리고, 가벼운 죄를 저지른 사람들은 그 어떤 처사에도 불구하고 사형에 처하고, 또 모든 열매들과 풀을 지나가는 자리에는 반쪽짜리의 형체만 남겨놓기도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이 왼쪽의 반쪽만 남은 자작이 아닌 선한 마음을 지닌 이 자작의 오른쪽 빤쪼가리 몸을 한 자작이 나타난다.
전쟁에서 부서져 없어진 오른쪽 자작의 반쪽 몸이 나타난 것이다. 이 두 사람, 아니 한 사람은 선과 악을 행하며 마을에 불안한 심리를 조장하게 만드는데, 한 여자 파멜라를 동시에 사랑하게 되면서, 이 두사람의 비극은 시작된다. 그러나 그것은 비극이라고 해도 될런지.. 오른쪽 몸의 자작과 파멜라의 결혼식날. 왼쪼가리 몸의 자작이 나타나 결투를 신청하고, 두사람. 아니 한 사람일수 있는 이 두몸이 결투를 하게 된다.
결투는 두 사람의 몸에 상처를 내게 되고, 의사에 의해 다시 두 사람의 몸은 한 몸으로 재결합 되는데.. 마지막에 파멜라는 외친다. " 마침내 난 완전한 신랑을 얻었어! " 라고 말이다. 풋. 웃음이 나오는 동시에 어떤 교훈을 안겨주는 책이다. 선과 악을 지닌 각각의 자작.
그 누구도 선만을 지니지도. 악만을 지니지도 않는다는것을 보여준다. 최상의 교수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피에트로키오도 장인과 오직 축제와 춤만을 위해 살아가는 문둥이들. 누구나가 다 옳은 것만을 위해 살아가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는 책이었다. 존재할것 같지 않은 이야기들에, 유머러스함과 옮음을 보여준 이 책에 감탄이 나왔다.
시트를 잡아당기자 무시무시하게 부서진 자작의 몸이 보였다. 한쪽 팔과 다리가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한쪽 팔과 다리 사이에 있어야 할 가슴과 복부가 모두 달아나고 없었다. 포탄을 정면으로 맞아 가루가 되어 날아가 버린 것이다. 머리에는 한쪽 귀, 한쪽 뺨, 한쪽 코, 입 반쪽, 이마 반쪽 그리고 턱이 반쪽 남아 있었다. 몸의 다른 반쪽은 죽처럼 흐물흐물해졌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몸의 반쪽, 즉 오른쪽만이 남았고 남은 부분은 거의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p.19)
아. 파멜라. 이건 반쪽짜리 인간의 선이야. 세상 모든 사람들과 사물을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이야. 사람이든 사물이든 각각 그들 나름대로 불완전하기 때문이지. 내가 성한 사람이었을 때 난 그것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귀머거리처럼 움직였고 도처에 흩어진 고통과 상처 들을 느낄 수 없었어. 성한 사람들이 믿을 수 없는 일들이 도처에 있지. 반쪼가리가 되었거나 뿌리가 뽑힌 존재는 나만이 아니야. 파멜라. 모든 사람들이 악으로 고통 받는 걸 알게 될 거야. 그리고 그들을 치료하면서 너 자신도 치료할 수 있을 거야. (p,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