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 파라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3
후안 룰포 지음, 정창 옮김 / 민음사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뒷 표지에는 이 책에 대한 찬사가 대단하다.

- 이 작품 하나로 멕시코 문학은 세계 문학의 최정상에 오른다.
- 스페인어로 쓰여진 가장 아름다운 작품
- 프루스트와 울프를 집약시킨 라틴 아메리카 문학의 고전
- 멕시코 교과서의 필수 수록 작품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정에 비치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읽히는 멕시코의 국민 문학.

상당한 찬사를 새기면서 읽기 시작한 책이었다. 하지만 그만큼 많은 찬사를 받은 책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나에겐 상당히 어렵게 느껴지는 책이었다. 내용은 아주 단순하다. 근데 책에 집중이 잘 안되었다. 지금 내가 읽고 있는 상황이 어느 상황인지 헷갈리게 만든다.책은 과거와 현재가 마구 교차된다. 그리고 현재 살고 있는 사람인지. 죽은 사람인지 짐작도 할 수 없는 그들의 이야기가 나를 마구 혼란스럽게 만들어 버렸다.

책은- '꼬말라에 왔다' 로 시작된다. 주인공 쁘레시아도는 자신의 어머니의 유언에 따라 그녀의 고향을 찾아가 자신의 아버지 뻬드로 빠라모를 찾으라고 말한다. 그래서 어머니의 고향 꼬말라에 왔다. 하지만 그곳은 더이상 인간들이 사는 곳이 아닌 유령들이 사는 마을이었다. 여기서부터 나의 혼란은 시작된다. 그리고 주인공 쁘레시아도는 죽게 된다. 왜 죽게 되는지 그 이유도 나와있지 않으며. 책을 읽는 내내 그가 죽었는지조차 모르게 된다. 정말 혼란스러운 책...

그리고 또다시 이어지는 내용은 주인공 쁘레시아도가 아니라 그의 아버지 뻬드로 빠라모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가 사랑하는 여자와 그의 삶에 대해서. 그리고 그 꼬말라에 살고 있는 유령들의 이야기가 과거와 현재를 번갈아서 시작된다. 책 전반에 흐르는 느낌은 매우 우울하고 비극적이다. 책 읽기의 낯설음. 모호성을 마구 자극하게 만든다는 이 책의 소문이 사실이었다. 상당히 낯설었다.. 하지만 분명히 말하고 싶은 점은 책에서 운율적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마치 시를 읽는 것처럼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나중에.. 좀 더 많은 책들을 접하고 난뒤에 한번 더 읽어보고 싶다. 이 책을-

그를 깨운 것은 통곡 소리였다. 억눌린 듯하면서도 날카로운. 어쩌면 무겁게 짓눌린 꿈결 속을 파고든 것은 날카로운 소리이기에 가능했는지도 모른다.그는 천천히 몸을 일으켰다. 그리고 어두운 허공 저쪽으로 보이는 문을 향해 고개를 돌렸다. 한 여연이 침실 문에 쓰러질 듯 기대어 흐느끼고 있었다.
-왜 우세요, 엄마?
그는 침실 바닥에 발을 내려놓는 순간, 울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어머니라는 사실을 알았다. 
-네 아버지가 죽었다.
그녀는 마음 속에 꾹꾹 눌러둔 고통의 용수철이 튀어 오르듯 들썩이는 자신의 어깨와 가슴을 양손으로 감싸 안았다. 침실 문을 통해 새벽하늘이 보였다. 별은 없었다. 아직은 어둠이 가시지 않은, 마치 아침이 열리는 것을 거부하는 듯한 납빛 하늘이 초저녁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마당을 밟는 소리, 수많은 사람들이 돌아다니는 듯한 소리가 들린다. 절제된 소리다. 문간에 서 있는, 양손으로 어깨를 감싸 쥔 여인의 모습이 새로운 아침이 열리는 것을 거부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새벽빛은 마치 그녀의 눈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듯 가만히 스며들고 있다. 여인이 다시 흐느낀다. 억눌린 듯하면서 예리한 통곡이 이어진다. 여인의 몸이 고통으로 뒤틀리고 있다.
-네 아버지를 죽였단다.
-어머니, 어머니를 죽였던 그 사람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